편집
13,127
번
잔글 (→추적 관찰) |
잔글 (→고위험 녹내장 의증)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신경 조직 소실을 시사하는 시신경 또는 유두테 모양의 비대칭([[시신경 유두 함몰비]] 차이 > 0.2) | * 신경 조직 소실을 시사하는 시신경 또는 유두테 모양의 비대칭([[시신경 유두 함몰비]] 차이 > 0.2) | ||
* 초기 녹내장성 손상을 의심케 하는 시야 결손 | * 초기 녹내장성 손상을 의심케 하는 시야 결손 | ||
== 고위험 녹내장 의증 == | == 위험 인자 == | ||
녹내장 발병 위험은 위험인자의 강도와 개수에 관계된다. 정상에서 녹내장으로의 진행에 관련된 위험인자에 관한 종적 인구 기반 연구들로 Barbados Incidence Study of Eye Diseases (BISED), Melbourne Visual Impairment Project (Melbourne VIP), Rotterdam Eye Study (RES) 등이 있는데, 고령과 안압 상승이 주요 위험인자로 알려졌다<ref>Coleman AL et al. RFs for glaucoma onset and progression. ''Surv Ophthalmol''. 2008 Nov;53 Suppl1:S3-10. [https://pubmed.ncbi.nlm.nih.gov/19038621/ 연결]</ref>. 세 연구 모두 5~9년 사이에 OAG 발생 위험률이 안압 1 mmHg 당 10-14% 증가한다고 하였다. 다른 위험인자로 BISED에서는 OAG 가족력,얇은 중심 각막 두께 (CCT),낮은 안관류압 등을 들었고, RES에서는 고혈압 치료를 위한 칼슘 채널 차단제 복용을, Melbourne VIP에서는 [[거짓비늘 증후군]], 큰 유두함몰비, 알파 차단제 복용을 위험인자로 보고하였다<ref>Allingham RR et al. Shields' Textbook of Glaucoma. 6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iams & Wilkins; 2010.</ref>. | |||
=== 고위험 녹내장 의증 === | |||
아래의 열 가지 중 하나라도 있을 때 | 아래의 열 가지 중 하나라도 있을 때 | ||
* 반복 측정한 안압이 계속 <span style='color:blue;'>31 mmHg 이상</span> | * 반복 측정한 안압이 계속 <span style='color:blue;'>31 mmHg 이상</sp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