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 개방각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8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9월 13일 (수)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 역학 ==
== 역학 ==
=== 유병률 ===
=== 유병률 ===
가장 흔한 녹내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상 인구의 연령, 성별 분포와 인종간 또는 국가간에 따라 보고되는 유병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서양의 보고에 의하면 40세 이상 인구에서 유병률은 0.5~1% 이며 전체 녹내장의 60~70% 를 차지한다고 한다<ref>Stanmper RL et al. Becker-Shaffer's Diagnosis and Therapy of the Glaucomas. 7th ed. St. Louis: The C.V. Mosby Company; 1999. p.299.</ref>. 그러나 동양인에서는 폐쇄각 녹내장이 서양인에 비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He M et al.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laucoma in adult Chinese : a population-based study in Liwan District, Guangzhou. ''IOVS''. 2006 Jul;47(7):2782-8. [https://pubmed.ncbi.nlm.nih.gov/16799014/ 연결]</ref>. 또한 인구 기반으로 유병률을 조사한 일본의 Tamiji 연구<ref>Iwase A et al; Tajimi Study Group, JGS. The prevalence of POAG in Japanese : the Tajimi Study. ''Ophthalmology''. 2004 Sep;111(9):1641-8. [https://pubmed.ncbi.nlm.nih.gov/15350316/ 연결]</ref>에 따르면 개방각 녹내장이 전 인구의 3.9% 에 달하며, 그 중 92% 가 안압이 21mmHg 이하라고 하여, 동양인에서 [[정상 안압 녹내장]]의 비율이 매우 높음을 보고하였다.
가장 흔한 녹내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상 인구의 연령, 성별 분포와 인종간 또는 국가간에 따라 보고되는 유병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서양의 보고에 의하면 40세 이상 인구에서 유병률은 0.5~1% 이며 전체 녹내장의 60~70% 를 차지한다고 한다<ref name=r2>Stanmper RL et al. Becker-Shaffer's Diagnosis and Therapy of the Glaucomas. 7th ed. St. Louis: The C.V. Mosby Company; 1999. p.299.</ref>. 그러나 동양인에서는 폐쇄각 녹내장이 서양인에 비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He M et al.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laucoma in adult Chinese : a population-based study in Liwan District, Guangzhou. ''IOVS''. 2006 Jul;47(7):2782-8. [https://pubmed.ncbi.nlm.nih.gov/16799014/ 연결]</ref>. 또한 인구 기반으로 유병률을 조사한 일본의 Tamiji 연구<ref>Iwase A et al; Tajimi Study Group, JGS. The prevalence of POAG in Japanese : the Tajimi Study. ''Ophthalmology''. 2004 Sep;111(9):1641-8. [https://pubmed.ncbi.nlm.nih.gov/15350316/ 연결]</ref>에 따르면 개방각 녹내장이 전 인구의 3.9% 에 달하며, 그 중 92% 가 안압이 21mmHg 이하라고 하여, 동양인에서 [[정상 안압 녹내장]]의 비율이 매우 높음을 보고하였다.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에 거주하는 40세 이상의 주민 1,532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남일 연구]]<ref>Kim CS et al; Namil Study Group, KGS. Prevalence of POAG in central South Korea the Namil study. ''Ophthalmology''. 2011 Jun;118(6):1024-30. [https://pubmed.ncbi.nlm.nih.gov/21269703/ 연결]</ref>에 의하면, OAG가 전 인구의 3.5%에 달하며, 그 중 67.6%가 NTG였고, 국민 전체 인구를 기반으로 하는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연구<ref>Kim KE et al; Epidemiologic Survey Committee of the KOS. Prevalence, Awareness, and RFs of POAG: KNHNES 2008-2011. ''Ophthalmology''. 2016 Mar;123(3):532-41. [https://pubmed.ncbi.nlm.nih.gov/26746594/ 연결]</ref>에 따르면 4.7%가 OAG였는데, NTG의 유병률은 4.5%로, OAG의 95.7%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에 거주하는 40세 이상의 주민 1,532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남일 연구]]<ref>Kim CS et al; Namil Study Group, KGS. Prevalence of POAG in central South Korea the Namil study. ''Ophthalmology''. 2011 Jun;118(6):1024-30. [https://pubmed.ncbi.nlm.nih.gov/21269703/ 연결]</ref>에 의하면, OAG가 전 인구의 3.5%에 달하며, 그 중 67.6%가 NTG였고, 국민 전체 인구를 기반으로 하는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연구<ref>Kim KE et al; Epidemiologic Survey Committee of the KOS. Prevalence, Awareness, and RFs of POAG: KNHNES 2008-2011. ''Ophthalmology''. 2016 Mar;123(3):532-41. [https://pubmed.ncbi.nlm.nih.gov/26746594/ 연결]</ref>에 따르면 4.7%가 OAG였는데, NTG의 유병률은 4.5%로, OAG의 95.7%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