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특발 언가지 혈관염: 두 판 사이의 차이

948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7일 (화)
잔글
10번째 줄: 10번째 줄:
발병 전에 여러가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증상으로는 시력 저하 외에도 비문증, 광시증 등이 있을 수 있다. 눈에서는 전방과 유리체에서 다양한 정도의 염증 소견이 있을 수 있으나 평면부에 침착물은 관찰되지 않는다.
발병 전에 여러가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증상으로는 시력 저하 외에도 비문증, 광시증 등이 있을 수 있다. 눈에서는 전방과 유리체에서 다양한 정도의 염증 소견이 있을 수 있으나 평면부에 침착물은 관찰되지 않는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 안저 소견 : 매우 특징적인데, 후극부에서 주변부까지 혈관벽을 따라 백색의 삼출물이 심하게 관찰된다. 동맥과 정맥을 모두 포함하기도 하지만 주로 큰 정맥이 침범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acute frosted retinal periphlebitis 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 주장되기도 했다. 또한 망막 출혈, 황반의 장액성 박리, 경미한 [[시신경 유두 부종]] 등의 소견이 동반될 수도 있다. 시신경 유두염이 관찰되기도 하지만 대개 경미하다.<br
* 안저 소견 : 매우 특징적인데, 후극부에서 주변부까지 혈관벽을 따라 백색의 삼출물이 심하게 관찰된다. 동맥과 정맥을 모두 포함하기도 하지만 주로 큰 정맥이 침범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acute frosted retinal periphlebitis 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 주장되기도 했다. 또한 망막 출혈, 황반의 장액성 박리, 경미한 시신경 유두 부종 등의 소견이 동반될 수도 있다. 시신경 유두염이 관찰되기도 하지만 대개 경미하다.
* FA : 초기에는 혈류 정체나 혈관 폐쇄의 소견 없이 정상적인 충만 속도를 보이며 별다른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으나, 후기에 침범된 혈관의 형광 염색과 누출을 관찰할 수 있다.
* ERG, EOG, VEP : 진폭의 감소가 관찰되며, 이는 유병기간 동안의 망막, 망막 색소상피, 시신경의 전반적인 기능 감소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눈 전위도와 시유발전위 검사 결과는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망막전위도의 변화는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영구적인 망막 손상을 야기했음을 시사한다.
* 일반적으로 혈액, 소변, 방사선 검사는 모두 정상이다.
* 매독, 결핵, [[톡소플라즈마]],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거대 세포 바이러스]] 등에 대한 검사도 대개 음성이며 만일 양성인 경우 이차성 언가지모양 혈관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이차성 언가지모양 혈관염]]
* [[이차성 언가지모양 혈관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