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162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2월 19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3번째 줄: 33번째 줄: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스테로이드 투여를 중단하고 안압 하강제,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통해 안압이 조절되지만<ref>Rubin B et al. The effect of SLT on IOP in patients with intravitreal steroid-induced elevated IOP. J Glaucoma. 2008 Jun-Jul;17(4):287-92. [https://pubmed.ncbi.nlm.nih.gov/18552614/ 연결]</ref> 약 3%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시신경 손상이 발생하여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으로 명명되고, 1~5%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스테로이드 투여를 중단하고 안압 하강제,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통해 안압이 조절되지만<ref>Rubin B et al. The effect of SLT on IOP in patients with intravitreal steroid-induced elevated IOP. J Glaucoma. 2008 Jun-Jul;17(4):287-92. [https://pubmed.ncbi.nlm.nih.gov/18552614/ 연결]</ref> 약 3%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시신경 손상이 발생하여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으로 명명되고, 1~5%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 비수술적 치료 ==
== 치료 ==
가장 중요한 것은 <span style='color:blue;'>약물을 중단</span>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필요할 때에는 안압 상승 효과가 적은 medrysone이나 fluorometholone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안압은 일에서 수 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오나 약물 복용 기간이 오래된 경우에는 안압의 정상화에 영향을 미친다. 안압의 조절을 원칙적으로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같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약물을 중단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안압은 스테로이드를 끊으면 수 일~수 주 내에 정상으로 떨어지지만 가족력이 있는 [[원발 개방각 녹내장|POAG]] 환자나 수 년 동안 스테로이드를 점안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끊어도 안압이 정상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지속적인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필요할 때 에는 안압 상승 효과가 적은 medrysone이나 [[플루오로메토론]]과 같은 것을 사용하거나,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 는 안압의 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대체해서 사용해 볼 있다. 안압의 조절은 원칙적으로 POAG와 같으며,최대의 약물 치료에도 안압의 호전이 없으면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이나 여과 수술을 시행한다. 만약 안구 주위 스테로이드 주사에 의하여 생긴 안압 상승이 약물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으면 주사로 생긴 침착된 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최대의 약물 치료에도 안압의 호전이 없으면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이나 여과 수술을 시행한다.
== 수술적 치료 ==
만약 안구 주위 스테로이드 주사에 의하여 생긴 안압 상승이 약물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으면 주사로 생긴 침착된 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