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56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2월 20일 (수)
잔글
잔글 (→‎전신)
잔글 (→‎국소)
24번째 줄: 24번째 줄:
* 고위험 : 베클로메타손 (beclomethasone dipropionate),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코르티손 (cortisone)
* 고위험 : 베클로메타손 (beclomethasone dipropionate),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트리암시놀론]], 코르티손 (cortisone)
* 저위험 : [[리멕솔론]], [[로테프레드놀]], [[플루오로메토론]], 메드리손
* 저위험 : [[리멕솔론]], [[로테프레드놀]], [[플루오로메토론]], 메드리손
=== 안구 주위 주사 ===
=== 안구 내 주사 ===
=== 전신 ===
=== 전신 ===
전신적인 투여시 안압의 상승은 미미하나<ref>Spaeth GL et al. SIG : A. Persistent elevation of IOP, B. Histopathological aspects. ''Trans Am Ophthalmol Soc''. 1977;75:353-81. [https://pubmed.ncbi.nlm.nih.gov/613525/ 연결]</ref>, HLA-R12와 관련이 있고<ref>Adhikary HP et al. Ocular complications of systemic steroid after renal transplantation and their association w HLA. ''BJO''. 1982 May;66(5):290-1. [https://pubmed.ncbi.nlm.nih.gov/7041956/ 연결]</ref>, 많은 양의 스테로이드를 적용할 때는 눈과 많이 떨어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안압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ref>Dorsch W et al. The clinical efficacy of medrysone, a new ophthalmic steroid. ''AJO''. 1968 Jan;65(1):74-5. [https://pubmed.ncbi.nlm.nih.gov/5638193/ 연결]</ref>. 소아는 스테로이드 전신 투여에 의한 안압 상승에 더 취약하므로 주의를 요한다<ref>Krag S et al. Risk of OHTN in children treated w systemic glucocorticoid. ''Acta Ophthalmol''. 2021 Dec;99(8):e1430-e1434. [https://pubmed.ncbi.nlm.nih.gov/33629533/ 연결]</ref>. 비강 스프레이 또는 홉입기로 스테로이드 투여시 안압 상승은 드물었다는 보고가 있다<ref>Moss EB et al. A RCT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haled Corticosteroid on IOP in OAG and OHTN : The ICOUGH Study. ''J Glaucoma''. 2017 Feb;26(2):182-186. [https://pubmed.ncbi.nlm.nih.gov/27096722/ 연결]</ref><ref>Yuen D et al. Effect of beclomethasone nasal spray on IOP in OHTN or controlled glaucoma. ''J Glaucoma''. 2013 Feb;22(2):84-7. [https://pubmed.ncbi.nlm.nih.gov/21716127/ 연결]</ref>.
전신적인 투여시 안압의 상승은 미미하나<ref>Spaeth GL et al. SIG : A. Persistent elevation of IOP, B. Histopathological aspects. ''Trans Am Ophthalmol Soc''. 1977;75:353-81. [https://pubmed.ncbi.nlm.nih.gov/613525/ 연결]</ref>, HLA-R12와 관련이 있고<ref>Adhikary HP et al. Ocular complications of systemic steroid after renal transplantation and their association w HLA. ''BJO''. 1982 May;66(5):290-1. [https://pubmed.ncbi.nlm.nih.gov/7041956/ 연결]</ref>, 많은 양의 스테로이드를 적용할 때는 눈과 많이 떨어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안압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ref>Dorsch W et al. The clinical efficacy of medrysone, a new ophthalmic steroid. ''AJO''. 1968 Jan;65(1):74-5. [https://pubmed.ncbi.nlm.nih.gov/5638193/ 연결]</ref>. 소아는 스테로이드 전신 투여에 의한 안압 상승에 더 취약하므로 주의를 요한다<ref>Krag S et al. Risk of OHTN in children treated w systemic glucocorticoid. ''Acta Ophthalmol''. 2021 Dec;99(8):e1430-e1434. [https://pubmed.ncbi.nlm.nih.gov/33629533/ 연결]</ref>. 비강 스프레이 또는 홉입기로 스테로이드 투여시 안압 상승은 드물었다는 보고가 있다<ref>Moss EB et al. A RCT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haled Corticosteroid on IOP in OAG and OHTN : The ICOUGH Study. ''J Glaucoma''. 2017 Feb;26(2):182-186. [https://pubmed.ncbi.nlm.nih.gov/27096722/ 연결]</ref><ref>Yuen D et al. Effect of beclomethasone nasal spray on IOP in OHTN or controlled glaucoma. ''J Glaucoma''. 2013 Feb;22(2):84-7. [https://pubmed.ncbi.nlm.nih.gov/21716127/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