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4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12월 20일 (수)
잔글
30번째 줄: 30번째 줄:
유리체강 내 주사를 통한 스테로이드 투여 역시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유리체강 내 주사요법으로 쓰이는 약물에는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TA), fluocinolone acetonide, [[덱사메타손]]이 있으며 이중 fluocinolone acetonide와 [[덱사메타손]]은 지속 방줄형 삽입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Fluocinolone acetonide 삽입물은 안압 상승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ef name=r13>Kiddee W et al. IOP monitoring post intravitreal steroids : a systematic review. ''Surv Ophthalmol''. 2013 Jul-Aug;58(4):291-310. [https://pubmed.ncbi.nlm.nih.gov/23768920/ 연결]</ref><ref>Roberti G et al. SIG :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Surv Ophthalmol''. 2020 Jul-Aug;65(4):458-472. [https://pubmed.ncbi.nlm.nih.gov/32057761/ 연결]</ref>. TA 또한 많은 비율의 환자들에게 안압 상승을 일으킬 수 있는데,주입되었던 농도와 연구 방법 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문헌고찰에 따르면 4mg TA를 유리체강내 주사한 이후 안압 상승의 발생률은 약 32%였다<ref name=r13 />.
유리체강 내 주사를 통한 스테로이드 투여 역시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유리체강 내 주사요법으로 쓰이는 약물에는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TA), fluocinolone acetonide, [[덱사메타손]]이 있으며 이중 fluocinolone acetonide와 [[덱사메타손]]은 지속 방줄형 삽입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Fluocinolone acetonide 삽입물은 안압 상승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ef name=r13>Kiddee W et al. IOP monitoring post intravitreal steroids : a systematic review. ''Surv Ophthalmol''. 2013 Jul-Aug;58(4):291-310. [https://pubmed.ncbi.nlm.nih.gov/23768920/ 연결]</ref><ref>Roberti G et al. SIG :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Surv Ophthalmol''. 2020 Jul-Aug;65(4):458-472. [https://pubmed.ncbi.nlm.nih.gov/32057761/ 연결]</ref>. TA 또한 많은 비율의 환자들에게 안압 상승을 일으킬 수 있는데,주입되었던 농도와 연구 방법 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문헌고찰에 따르면 4mg TA를 유리체강내 주사한 이후 안압 상승의 발생률은 약 32%였다<ref name=r13 />.


최근에는 국내에서 황반부종의 치료에 지속방출형 [[덱사메타손]] 삽입물 ([[오저덱스]] 삽입물 700㎍®)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덱사메타손]] 삽입물 역시 안압 상승을 일으킬 수 있으나 TA에 비해 더 수용성이 좋아 안압 상승이 보다 더 일시적이고 안압 하강제에 대한 반응도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6,000예 이상의 결과를 분석했던 대규모 다기관 연구결과에 따르면 [[덱사메타손]] 삽입물 주입 후 안압상승은 26.5%에서 관찰되었고 이중 대부분은 약물 치료로 안압이 조절이 되었으며 녹내장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0.5%였다고 하였다<ref>Rajesh B et al; for International Ozurdex Study Group. Safety of 6000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s. ''BJO''. 2020 Jan;104(1):39-46. [https://pubmed.ncbi.nlm.nih.gov/31040132/ 연결]</ref>. 기존에 녹내장이 있었던 경우,기저 안압이 높은 경우,나이가 젊은 경우,포도막염이 있는 경우,이전 주사 시 안압상숭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주사하는 스테로이드의 용량이 많은 경우에는 유리체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 후 안압 상승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ref name=r13 />.
최근에는 국내에서 황반부종의 치료에 지속방출형 [[덱사메타손]] 삽입물 ([[오저덱스]] 삽입물 700㎍®)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덱사메타손]] 삽입물 역시 안압 상승을 일으킬 수 있으나 TA에 비해 더 수용성이 좋아 안압 상승이 보다 더 일시적이고 안압 하강제에 대한 반응도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6,000예 이상의 결과를 분석했던 대규모 다기관 연구결과에 따르면 [[덱사메타손]] 삽입물 주입 후 안압상승은 26.5%에서 관찰되었고 이중 대부분은 약물 치료로 안압이 조절이 되었으며 녹내장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0.5%였다고 하였다<ref>Rajesh B et al; for International Ozurdex Study Group. Safety of 6000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s. ''BJO''. 2020 Jan;104(1):39-46. [https://pubmed.ncbi.nlm.nih.gov/31040132/ 연결]</ref>. 기존에 녹내장이 있었던 경우, 기저 안압이 높은 경우, 나이가 젊은 경우, 포도막염이 있는 경우, 이전 주사 시 안압 상승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주사하는 스테로이드의 용량이 많은 경우에는 유리체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 후 안압 상승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ref name=r13 />.


=== 전신 ===
=== 전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