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새 문서: '''외상성 근시 (traumatic myopia)''' 는 안구 외상 후 발생하는 안구의 가변적 근시성 변화를 말하며, 1870년 Kugel이 외상 후 발생하는 근시에 대해 처음 발표하였으며 그 이후 외상 후 가변적 근시에 대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 역학 == 수상안에 주로 발생하고 종종 양안에 관찰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1.0~-6.0 D 까지 굴절률의 변화는 다양하고 갑자기 발생하여 가변적...)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Duke-Elder<ref>Duke-Elder S. System of Ophthalmology, Vol. 5. Mosby: St. Louise, 1970;354-5</ref>는 외상으로 인한 섬모체 연축 및 섬모체띠의 약화가 근시성 변화를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 Steele 등<ref>Steele CA et al. Traumatic myopia; an ultrasonographic and clinical study. ''BJO''. 1987 Apr;71(4):301-3. [https://pubmed.ncbi.nlm.nih.gov/3555608/ 연결]</ref>에 따르면 외상성 근시의 굴절 변화는 다양하며 이는 홍채-수정체 격막의 전방 이동 없이 섬모체 부종으로 인한 수정체 두께의 증가가 원인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 Duke-Elder<ref>Duke-Elder S. System of Ophthalmology, Vol. 5. Mosby: St. Louise, 1970;354-5</ref>는 외상으로 인한 섬모체 연축 및 섬모체띠의 약화가 근시성 변화를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 Steele 등<ref>Steele CA et al. Traumatic myopia; an ultrasonographic and clinical study. ''BJO''. 1987 Apr;71(4):301-3. [https://pubmed.ncbi.nlm.nih.gov/3555608/ 연결]</ref>에 따르면 외상성 근시의 굴절 변화는 다양하며 이는 홍채-수정체 격막의 전방 이동 없이 섬모체 부종으로 인한 수정체 두께의 증가가 원인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