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레신: 두 판 사이의 차이

3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3월 13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플루레신 (fluorescein)'''{{망막}}
'''플루레신 (fluorescein)'''{{망막}}
== 광학적 특성 ==
== 광학적 특성 ==
수용성의 주황색 색소로 혈중에서 가시광선인 청색 파장의 광선에 자극 받아 녹황색 형광을 발산한다. 이러한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안저 카메라 또는 [[동초점 주사 레이저 검안경]]으로 안저 순환계를 조영한다. 안저를 조영하는 방식이 두 기종이 서로 다르다. 안저 카메라는 플래쉬 광선과 필터를 사용하고, cSLO는 직접 청색 파장의 레이저 광선을 사용한다. 즉, 안저 카메라는 백색의 플래쉬 섬광을 자극 필터에 걸러서 나온 465~490nm의 청색 파장 광선을 눈 속에 조사한다. 이 파장대의 광선이 플루레신을 최대로 자극한다. 자극을 받은 플루레신은 약간 더 긴 520~530nm 파장의 녹황색 형광을 가장 많이 방출하며, 차단 필터는 불필요한 반사 광선을 걸러서 형광 대비를 극대화시키고, 흑백으로 영상화한다.<br />반면, cSLO는 488nm의 청색 파장 레이저 광선을 안저에 직접 조사하는 방식이므로 플루레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저에 조사하거나 반사되는 확산 광선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플래쉬와 필터가 불필요하다.
수용성의 주황색 색소로 혈중에서 가시광선인 청색 파장의 광선에 자극 받아 녹황색 형광을 발산한다. 이러한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안저 카메라 또는 [[동초점 주사 레이저 검안경]]으로 안저 순환계를 조영한다. 안저를 조영하는 방식이 두 기종이 서로 다르다. 안저 카메라는 플래쉬 광선과 필터를 사용하고, cSLO는 직접 청색 파장의 레이저 광선을 사용한다. 즉, 안저 카메라는 백색의 플래쉬 섬광을 자극 필터에 걸러서 나온 465~490nm의 청색 파장 광선을 눈 속에 조사한다. 이 파장대의 광선이 플루레신을 최대로 자극한다. 자극을 받은 플루레신은 약간 더 긴 520~530nm 파장의 녹황색 형광을 가장 많이 방출하며, 차단 필터는 불필요한 반사 광선을 걸러서 형광 대비를 극대화시키고, 흑백으로 영상화한다.
 
반면, cSLO는 488nm의 청색 파장 레이저 광선을 안저에 직접 조사하는 방식이므로 플루레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저에 조사하거나 반사되는 확산 광선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플래쉬와 필터가 불필요하다.
 
== 화학적 특성 ==
== 화학적 특성 ==
80%는 혈청 단백질과 결합한 결합 플루레신이며, 나머지 20%는 비결합 형태인 자유 플루레신으로 남는다. 결합 형태는 혈관 내에서 머물지만, 자유 형태는 장벽이 있는 망막 혈관계와 중추 신경계 혈관계를 제외한 전신 혈관을 자유롭게 빠져나간다. 주사 후 수 분이 지나면 자유 플루레신에 의해 피부, 점막 등이 노랗게 염색이 되고, 소변도 수 시간 동안 주황색 형광을 띠게 된다. 플루레신은 전신 혈류 순환을 두 세번 순환하면서 희석되어 24시간 내 <span style='color:blue;'>간과 신장을 통해 대부분 몸 밖으로 배출</span>된다.
80%는 혈청 단백질과 결합한 결합 플루레신이며, 나머지 20%는 비결합 형태인 자유 플루레신으로 남는다. 결합 형태는 혈관 내에서 머물지만, 자유 형태는 장벽이 있는 망막 혈관계와 중추 신경계 혈관계를 제외한 전신 혈관을 자유롭게 빠져나간다. 주사 후 수 분이 지나면 자유 플루레신에 의해 피부, 점막 등이 노랗게 염색이 되고, 소변도 수 시간 동안 주황색 형광을 띠게 된다. 플루레신은 전신 혈류 순환을 두 세번 순환하면서 희석되어 24시간 내 <span style='color:blue;'>간과 신장을 통해 대부분 몸 밖으로 배출</span>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