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조영제의 부작용)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조영제의 부작용 == | == 조영제의 부작용 == | ||
금기사항은 임신초기 3개월, 과거 플루레신 쇼크 및 여타 주사제의 부작용 경험이 있는 경우 등이다. 신장 기능이 나쁜 경우는 천천히 주사하거나, 주사량을 줄이고, 사전에 내과와 협의할 수 있다. 투석 환자는 투석 전날 또는 직전 검사한다. 과민 반응은 주사 후 1~2분 이내에 구역질, 구토, 피부 발진, 어지러움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ref>Lipson BK et al. Complications of IV fluorescein injections. ''Int Ophthalmol Clin''. 1989 Fall;29(3):200-5. [https://pubmed.ncbi.nlm.nih.gov/2526795/ 연결]</ref>, 이때 주사를 2~3분 멈추는 것이 증상 경감에 도움이 된다. 가려움증은 대개 주사 후 10~15분에 나타나는데 수시간 후에는 사라지지만 항히스타민제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검사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으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미리 피검자를 안심시킨다. 드물지만 과민성 쇼크 (anaphylaxis) 가 생길 수 있고, 기관지연축 (bronchospasm)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주사 직후 나타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며, 근처에 항상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구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응급함을 준비한다. 간혹 주사 도중 팔 혈관의 파열로 색소가 누출된 경우는 통증 관리를 잘 하고 피부 괴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 금기사항은 임신초기 3개월, 과거 플루레신 쇼크 및 여타 주사제의 부작용 경험이 있는 경우 등이다. 신장 기능이 나쁜 경우는 천천히 주사하거나, 주사량을 줄이고, 사전에 내과와 협의할 수 있다. 투석 환자는 투석 전날 또는 직전 검사한다. 과민 반응은 주사 후 1~2분 이내에 구역질, 구토, 피부 발진, 어지러움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ref>Lipson BK et al. Complications of IV fluorescein injections. ''Int Ophthalmol Clin''. 1989 Fall;29(3):200-5. [https://pubmed.ncbi.nlm.nih.gov/2526795/ 연결]</ref>, 이때 주사를 2~3분 멈추는 것이 증상 경감에 도움이 된다. 가려움증은 대개 주사 후 10~15분에 나타나는데 수시간 후에는 사라지지만 항히스타민제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검사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으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미리 피검자를 안심시킨다. 드물지만 과민성 쇼크 (anaphylaxis) 가 생길 수 있고, 기관지연축 (bronchospasm)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주사 직후 나타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며, 근처에 항상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구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응급함을 준비한다. 간혹 주사 도중 팔 혈관의 파열로 색소가 누출된 경우는 통증 관리를 잘 하고 피부 괴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 ||
== 정상 소견 == | |||
=== 맥락막기 === | |||
주사 후 10~15초부터 맥락막 형광이 보이기 시작하며, 망막 중심동맥 형광 1~2초 전에 나타난다. 초기의 특징적인 두 가지 소견이 나타난다. 희미한 반점(patchy) 모양의 형광이 후극부에 불규칙하게 산재되어 나타나며 (choroidal flush), 이는 RPE에 의한 차단이 다양한 정도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인접한 반점 모양의 형광들이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면서 뚜렷한 경계가 보이기도 하는데 (patchy filling), 이는 맥락막 소엽들이 동시가 아니라 순차적으로 충만되기 때문이다. 이후 10초 이내에 맥락막 형광이 극대화되고, 5초 정도 지속된다. 이때 여러 형태의 분수계역이 나타나며, 초기 정맥기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 |||
수직으로 형광의 충만이 지연되는 모양이 가장 흔한 모양이다. 한편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플루레신의 확산과 브루크막의 염색으로 맥락막은 젖빛유리같이 균일한 배경형광으로 보이며 맥락막혈관이 가려진다. 섬모체망막동맥이 있으며, 맥락막과 같이 조영된다. 황반 중심부는 시종 어둡게 보인다. 이는 중심부의 RPE는 키가 크고 밀도도 높으며, 멜라닌과 리포푸신 색소가 많고, 망막외 망상층에도 엽황소 (xanthophyll) 가 많아 뒤쪽의 맥락막 형광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중심와 무혈관 부위와도 관련이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