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 안저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3,12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3월 13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15번째 줄:
주사 후 10~15초부터 맥락막 형광이 보이기 시작하며, 망막 중심동맥 형광 1~2초 전에 나타난다. 초기의 특징적인 두 가지 소견이 나타난다. 희미한 반점(patchy) 모양의 형광이 후극부에 불규칙하게 산재되어 나타나며 (choroidal flush), 이는 RPE에 의한 차단이 다양한 정도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인접한 반점 모양의 형광들이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면서 뚜렷한 경계가 보이기도 하는데 (patchy filling), 이는 맥락막 소엽들이 동시가 아니라 순차적으로 충만되기 때문이다. 이후 10초 이내에 맥락막 형광이 극대화되고, 5초 정도 지속된다. 이때 여러 형태의 분수계역이 나타나며, 초기 정맥기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주사 후 10~15초부터 맥락막 형광이 보이기 시작하며, 망막 중심동맥 형광 1~2초 전에 나타난다. 초기의 특징적인 두 가지 소견이 나타난다. 희미한 반점(patchy) 모양의 형광이 후극부에 불규칙하게 산재되어 나타나며 (choroidal flush), 이는 RPE에 의한 차단이 다양한 정도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인접한 반점 모양의 형광들이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면서 뚜렷한 경계가 보이기도 하는데 (patchy filling), 이는 맥락막 소엽들이 동시가 아니라 순차적으로 충만되기 때문이다. 이후 10초 이내에 맥락막 형광이 극대화되고, 5초 정도 지속된다. 이때 여러 형태의 분수계역이 나타나며, 초기 정맥기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수직으로 형광의 충만이 지연되는 모양이 가장 흔한 모양이다. 한편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플루레신의 확산과 브루크막의 염색으로 맥락막은 젖빛유리같이 균일한 배경형광으로 보이며 맥락막혈관이 가려진다. 섬모체망막동맥이 있으며, 맥락막과 같이 조영된다. 황반 중심부는 시종 어둡게 보인다. 이는 중심부의 RPE는 키가 크고 밀도도 높으며, 멜라닌과 리포푸신 색소가 많고, 망막외 망상층에도 엽황소 (xanthophyll) 가 많아 뒤쪽의 맥락막 형광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중심와 무혈관 부위와도 관련이 있다.
수직으로 형광의 충만이 지연되는 모양이 가장 흔한 모양이다. 한편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플루레신의 확산과 브루크막의 염색으로 맥락막은 젖빛유리같이 균일한 배경형광으로 보이며 맥락막혈관이 가려진다. 섬모체망막동맥이 있으며, 맥락막과 같이 조영된다. 황반 중심부는 시종 어둡게 보인다. 이는 중심부의 RPE는 키가 크고 밀도도 높으며, 멜라닌과 리포푸신 색소가 많고, 망막외 망상층에도 엽황소 (xanthophyll) 가 많아 뒤쪽의 맥락막 형광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중심와 무혈관 부위와도 관련이 있다.
=== 동맥기 ===
망막중심동맥 형광은 맥락막 형광 1~2초 후 (주사 후 11~18초) 에 나타나며, 이는 안동맥-망막 순환계 거리가 맥락막보다 더 멀기 때문이다. 주사 후부터 망막 중심동맥 형광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인 팔-망막 순환 시간은 약 10~15초 정도이다. 망막동맥은 약 1초 내에 완전히 충만된다. 동맥의 형광 출현 시간은 황반부가 가장 빠르고, 상하 차이는 없으나 이측이 비측보다 더 빠르다. 한편, RPE의 색소가 많을수록 배경이 어두워 망막 혈관은 더 뚜렷이 보인다.
=== 동정맥기 (모세혈관기) ===
초기 동정맥기에는 플루레신이 중심망막동맥을 거쳐 망 막동맥,모세혈관 이전 세동맥, 모세혈관, 모세혈관 이후 세정맥을 거쳐 망막정맥으로 들어간다. 후기 동정맥기에는 플루레신이 정맥으로 갈 때 혈관벽을 따라 들어가면서 특징적인 '결 흐름(laminar flow)' 을 보인대그림 5). 이는 혈관 중심부의 혈류 속도가 주변부보다 빠르고, 중심부의 적혈구 농도가 높기 때문이며,형광이 벽에 붙은 것처럼 보이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두터워진다. 정맥이 합쳐지는 곳에서 내측에 결이 생기면서 결이 세 개가 되기도 한다. 한편, 형광이 이측 망막동맥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측 망막정맥에 완전히 충만될 때까지의 시간을 동정맥 통과 시간 (AV transit time) 이라고 하며, 보통 11초 이하이지만 망막 중심혈관 폐쇄나 [[안허혈 증후군]]에서 길어진다.
=== 정맥기 ===
이 시기에는 망막 정맥의 결 흐름이 두터워지면서 결국 완전히 충만되는데, 황반부 정맥이 가장 먼저 충만된다. 주사 후 20~25초 정도가 형광의 최고점 단계이며, 0| 때 중심와주위 모세혈관망과 중심와 무혈관 부위가 가장 잘 보인다. 그러므로 촬영할 때 이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형광의 농도가 증가하면 빠른 속도로 찍기 시작하여 감소할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 하지만 중심와주위 모세혈관망이 항상 잘 보이는 것은 아니며, 매질이 깨끗하거나 젊은 사람에서 잘 보인다. 색소가 많은 사람도 어두운 배경으로 잘 보인다.
=== 재순환기 ===
주사 후 약 30초 정도에 형광이 맥락막과 망막 순환계를 일차적으로 통과한다. 이후 형광이 빠져나가고, 다시 낮은 농도의 플루레신이 간헐적으로 안저 혈류에 다시 나타난다. 주사 후 3~5분부터는 맥락막과 망막혈관에서 플루레신이 빠져나가면서 회색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 후기 ===
주사 후 약 10분이 지나면 거의 모든 플루레신이 빠져나가고 혈관들은 저형광으로 보인다. 한편,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누출된 플루레신이 시신경유두와 주변 공막, 시신경 사상판을 염색하여 과형광으로 보인다. 그리고 맥락막 조직, 브루크막, 공막 등도 염색으로 형광이 지속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