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정상 소견) |
잔글 (→비정상 소견)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주사 후 약 10분이 지나면 거의 모든 플루레신이 빠져나가고 혈관들은 저형광으로 보인다. 한편,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누출된 플루레신이 시신경유두와 주변 공막, 시신경 사상판을 염색하여 과형광으로 보인다. 그리고 맥락막 조직, 브루크막, 공막 등도 염색으로 형광이 지속된다. | 주사 후 약 10분이 지나면 거의 모든 플루레신이 빠져나가고 혈관들은 저형광으로 보인다. 한편,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누출된 플루레신이 시신경유두와 주변 공막, 시신경 사상판을 염색하여 과형광으로 보인다. 그리고 맥락막 조직, 브루크막, 공막 등도 염색으로 형광이 지속된다. | ||
== 비정상 소견 == | == 비정상 소견 == | ||
=== 저형광 === | |||
형광이 감소하거나 나타나지 않아 어둡거나 (too dark) 검게 보이는 경우로 기전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눈다. | |||
* 형광 차단 (blocked) : 앞에 생겨난 어떤 물질로 인해 뒤쪽의 망막 이나 맥락막 형광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 경우 차단 물질의 해부학적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망막과 맥락막 모두를 가리면 망막 앞 차단 물질이고, 맥락막 혈관만 가린다면 망막외층 또는 망막하 차단 물질이다. | |||
* 혈관 충만 장애 (vascular filling defect) : 형광물질이 혈관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것이다. 선천 또는 후천적으로 혈관조직이 없거나 혈관이 폐쇄 또는 위축되어 형광이 덜 차거나 지연되어 발생하며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원인혈관이 망막 혈관계, 맥락막 혈관계 혹은 유두 주변 혈관계인지에 따라 양상이 다르다. | |||
** 유두주변 혈관계의 폐쇄 : 초기 단계 저형광 소견으로 구분이 용이하다. | |||
** 망막 혈관계의 폐쇄 : 혈관의 주행 경로 및 분포에 따라 저형광을 보이며 이를 통해 병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
** 맥락막 혈관계의 혈관 충만 장애 : 망막혈관계 흐름은 정상이나 RPE의 탈색 및 맥락막 혈류 감소, 초기 맥락막 모세혈관의 저형광 소견을 보인다. | |||
두 가지를 감별하기 위해서는 저형광 부위를 안저 소견 또는 안저 사진과 관련시켜서 분석한다. 즉, 저형광의 크기와 모양, 위치와 일치하는 차단 물질이 있으면 형광 차단, 차단 물질이 없으면 충만 장애로 판단한다. 정상인 황반부도 저형광을 보이는데 이것의 원인은 황반부의 RPE가 크고, 멜라닌, 리포푸신, Xanthophyll 양이 황반에 더 많이 분포하고, 황반부가 망막 모세혈관이 없는 capillary-free zone이기 때문이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