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주사전 형광) |
잔글 (→과형광)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 자가형광 : 리포푸신 (lipofuscin) 등의 물질이 청색 파장의 빛에 자극되어 녹황색 형광을 보이는 경우로 시신경 유두 드루젠 (drusen) 이 대표적이다. | ** 자가형광 : 리포푸신 (lipofuscin) 등의 물질이 청색 파장의 빛에 자극되어 녹황색 형광을 보이는 경우로 시신경 유두 드루젠 (drusen) 이 대표적이다. | ||
** 가성형광 : 비형광 광선이 카메라 필터로 걸러지지 않아 나타나며, 밝게 반사된 공막, 삼출물, 반흔 등에서 보인다. | ** 가성형광 : 비형광 광선이 카메라 필터로 걸러지지 않아 나타나며, 밝게 반사된 공막, 삼출물, 반흔 등에서 보인다. | ||
* 투과 (transmitted) 형광 : RPE 창문 비침 (window defect) 이라고도 하며, RPE의 위축이나 선천적 색소 감소로 맥락막 형광이 차단되지 않는 경우이디. 그러므로 맥락막이 충만되는 | * 투과 (transmitted) 형광 : RPE 창문 비침 (window defect) 이라고도 하며, RPE의 위축이나 선천적 색소 감소로 맥락막 형광이 차단되지 않는 경우이디. 그러므로 맥락막이 충만되는 초기부터 보이며, 밝기는 맥락막 형광의 증가와 감소에 비례하고, 후기에도 크기와 모양에 변화가 없다. 다만 맥락막 혈관이 차단되거나 부족하면 투과 형광도 보이지 않는다. | ||
* 이상 혈관 : 초기의 혈관이 충만될 때 잘 보이며, 각각 망막과 맥락막 및 시신경 유두의 이상 혈관에서 보인다. 망막의 이상혈관은 크게 6가지로 분류된다. 맥락막의 이상 혈관은 맥락막하 신생혈관 또는 종양 내 혈관에 의한 것이다. | * 이상 혈관 : 초기의 혈관이 충만될 때 잘 보이며, 각각 망막과 맥락막 및 시신경 유두의 이상 혈관에서 보인다. 망막의 이상혈관은 크게 6가지로 분류된다. 맥락막의 이상 혈관은 맥락막하 신생혈관 또는 종양 내 혈관에 의한 것이다. | ||
** 사행 (tortuosity) 및 확장 (dilation) | ** 사행 (tortuosity) 및 확장 (dil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