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립 각막이상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3월 15일 (금)
잔글
잔글 (→‎역사)
잔글 (→‎역사)
6번째 줄: 6번째 줄:
변이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2008년 발표된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Corneal Dystrophies (IC3D) 및 2015년 발표된 IC3D 2판 분류에서 R555W 변이로 인한 1형 GCD (GCD1) 과 R124H 변이로 인한 제2형 과립 각막이상증으로 새롭게 명명하기로 하고, R124H 변이를 보이는 질환의 다른 명칭인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이라는 병명은 학술적으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하였다<ref>Weiss JS et al. The IC3D classification of the corneal dystrophies. ''Cornea''. 2008 Dec;27 Suppl 2(Suppl 2):S1-83. [https://pubmed.ncbi.nlm.nih.gov/19337156/ 연결]</ref>.
변이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2008년 발표된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Corneal Dystrophies (IC3D) 및 2015년 발표된 IC3D 2판 분류에서 R555W 변이로 인한 1형 GCD (GCD1) 과 R124H 변이로 인한 제2형 과립 각막이상증으로 새롭게 명명하기로 하고, R124H 변이를 보이는 질환의 다른 명칭인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이라는 병명은 학술적으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하였다<ref>Weiss JS et al. The IC3D classification of the corneal dystrophies. ''Cornea''. 2008 Dec;27 Suppl 2(Suppl 2):S1-83. [https://pubmed.ncbi.nlm.nih.gov/19337156/ 연결]</ref>.


그러나 국내의 현재까지의 의학적인 서술 방법은 과립 각막 이상증이라는 단일 명칭으로 GCD1, 2를 모두 포함하여 표현하고 있고,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이라는 용어는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의 동형접합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의 현재까지의 의학적인 서술 방법은 '과립 각막이상증'이라는 단일 명칭으로 GCD1, 2를 모두 포함하여 표현하고 있고,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이라는 용어는 GCD2의 동형 접합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 분류 ==
== 분류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