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망막 대동맥류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RAMA) 는 주로 큰 망막 동맥에서 발생하는 방추상 혹은 주머니 모양의 후천성 혈관 확장이며, 많은...) |
잔글 (→감별 진단)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ICGA : 두꺼운 출혈에 둘러싸여 동맥류의 확인이 어려우며 FA에서도 형광 차단을 보이는 경우에 진단에 유용하다. 특히 동맥 혈관벽에 연속된 병변이 박동을 보일 경우 망막 대동맥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 | * ICGA : 두꺼운 출혈에 둘러싸여 동맥류의 확인이 어려우며 FA에서도 형광 차단을 보이는 경우에 진단에 유용하다. 특히 동맥 혈관벽에 연속된 병변이 박동을 보일 경우 망막 대동맥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망막 분지 정맥 폐쇄]]나 [[당뇨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른 망막 혈관 질환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류와 감별해야 한다. 또한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에 위치한 경우는 [[ | [[망막 분지 정맥 폐쇄]]나 [[당뇨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른 망막 혈관 질환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류와 감별해야 한다. 또한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에 위치한 경우는 [[나이 관련 황반 변성]]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망막 색소상피 아래에 축적된 과량의 출혈을 동반한 경우는 흑색종이나 해면 혈관종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코우츠병]]이나 [[폰 힙펠-린도우 병]] 역시 망막 대동맥류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최근에 일부 저자들이 동반된 황반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anti-VEGF 유리체강내 주입술을 이용하여 양호하고 안전한 결과를 얻었음을 보고하였다. | 최근에 일부 저자들이 동반된 황반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anti-VEGF 유리체강내 주입술을 이용하여 양호하고 안전한 결과를 얻었음을 보고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