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두 판 사이의 차이

36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3월 15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각막}} 는 낮은 독력 (virulence) 을 보이는 그람 음성 구간균 (coccobacilli) 으로, 세균학자인 폴 바우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ref name=r2>Lin MF et al. Antimicrobial resistance in Acinetobacter baumannii : From bench to bedside. ''World J Clin Cases''. 2014 Dec 16;2(12):787-814. [https://pubmed.ncbi.nlm.nih.gov/25516853/ 연결]</ref>.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각막}} 는 낮은 독력 (virulence) 을 보이는 그람 음성 구간균 (coccobacilli) 으로, 세균학자인 폴 바우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ref name=r2>Lin MF et al. Antimicrobial resistance in Acinetobacter baumannii : From bench to bedside. ''World J Clin Cases''. 2014 Dec 16;2(12):787-814. [https://pubmed.ncbi.nlm.nih.gov/25516853/ 연결]</ref>.
== 역학 ==
== 역학 ==
중환자실의 면역 결핍 환자에서 병원 내 감염으로 주로 발생하고 눈에서의 감염은 드물다. 전 세계적으로 노출 각막염<ref>Marcovich A et al. Acinetobacter exposure keratitis. Br J Ophthalmol. 1994 Jun;78(6):489-90. doi: 10.1136/bjo.78.6.489. PMID: 8060938; PMCID: PMC504832.</ref>, 감염 결절 각막병증<ref>Khater TT et al. Infectious crystalline keratopathy caused by gram-negative bacteria. ''AJO''. 1997 Jul;124(1):19-23. [https://pubmed.ncbi.nlm.nih.gov/9222227/ 연결]</ref>, 전체층 각막 이식술 후<ref>Levy J et al. Acinetobacter corneal graft ulcer and endophthalmitis : report of 2 cases. ''Can J Ophthalmol''. 2005 Feb;40(1):79-82. [https://pubmed.ncbi.nlm.nih.gov/15825536/ 연결]</ref>, 콘택트렌즈 착용<ref>Corrigan KM et al. Association of acinetobacter species w CL-induced adverse responses. ''Cornea''. 2001 Jul;20(5):463-6. [https://pubmed.ncbi.nlm.nih.gov/11413398/ 연결]</ref>, 백내장수술 후 보조절개 (side port) 창에서 발생한 증례 보고<ref>Kau HC et al. Corneal ulcer of the side port after PE induced by Acinetobacter baumannii. ''JCRS''. 2002 May;28(5):895-7. [https://pubmed.ncbi.nlm.nih.gov/11978475/ 연결]</ref>만이 있다. 국내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 4개월만에 발생한 1예<ref>김성택 등, 콘택트렌즈 착용 후 발생한 Acinetobacter Baumannii 각막염 1예, ''한안지'' 2008;49(10):1696-170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649 연결]</ref>,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안약을 장기간 점안한 환자에서 칸디다와 복합 감염된 1예<ref>최재광 등, MDR-AB와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가 복합감염된 각막염 1예, ''한안지'' 2012;53(8):1167-117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606 연결]</ref>그리고 5증례를 모아 보고한 경우<ref>신경윤 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각막염의 임상적 특징, ''한안지'' 2015;56(4):607-61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784 연결]</ref>를 합쳐 7예가 있는데, 한 개 증례에서만 전체층 각막 이식술을 하였고 나머지는 대부분 약물 투여로 호전되었다.
중환자실의 면역 결핍 환자에서 병원 내 감염으로 주로 발생하고 눈에서의 감염은 드물다. 전 세계적으로 노출 각막염<ref name=r3>Marcovich A et al. Acinetobacter exposure keratitis. Br J Ophthalmol. 1994 Jun;78(6):489-90. doi: 10.1136/bjo.78.6.489. PMID: 8060938; PMCID: PMC504832.</ref>, 감염 결절 각막병증<ref>Khater TT et al. Infectious crystalline keratopathy caused by gram-negative bacteria. ''AJO''. 1997 Jul;124(1):19-23. [https://pubmed.ncbi.nlm.nih.gov/9222227/ 연결]</ref>, 전체층 각막 이식술 후<ref>Levy J et al. Acinetobacter corneal graft ulcer and endophthalmitis : report of 2 cases. ''Can J Ophthalmol''. 2005 Feb;40(1):79-82. [https://pubmed.ncbi.nlm.nih.gov/15825536/ 연결]</ref>, 콘택트렌즈 착용<ref>Corrigan KM et al. Association of acinetobacter species w CL-induced adverse responses. ''Cornea''. 2001 Jul;20(5):463-6. [https://pubmed.ncbi.nlm.nih.gov/11413398/ 연결]</ref>, 백내장수술 후 보조절개 (side port) 창에서 발생한 증례 보고<ref>Kau HC et al. Corneal ulcer of the side port after PE induced by Acinetobacter baumannii. ''JCRS''. 2002 May;28(5):895-7. [https://pubmed.ncbi.nlm.nih.gov/11978475/ 연결]</ref>만이 있다. 국내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 4개월만에 발생한 1예<ref name=r8>김성택 등, 콘택트렌즈 착용 후 발생한 Acinetobacter Baumannii 각막염 1예, ''한안지'' 2008;49(10):1696-170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649 연결]</ref>,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안약을 장기간 점안한 환자에서 칸디다와 복합 감염된 1예<ref>최재광 등, MDR-AB와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가 복합감염된 각막염 1예, ''한안지'' 2012;53(8):1167-117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606 연결]</ref>그리고 5증례를 모아 보고한 경우<ref>신경윤 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각막염의 임상적 특징, ''한안지'' 2015;56(4):607-61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784 연결]</ref>를 합쳐 7예가 있는데, 한 개 증례에서만 전체층 각막 이식술을 하였고 나머지는 대부분 약물 투여로 호전되었다.


== 다제 내성 ==
== 다제 내성 ==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DR-AB) 는 제4급 법정 감염병으로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을 나타내며, 국내외에서 점차적으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f>Neonakis IK et al. Confronting MDR-AB : a review. ''Int J Antimicrob Agents''. 2011 Feb;37(2):102-9. [https://pubmed.ncbi.nlm.nih.gov/21130607/ 연결]</ref><ref>Ibrahim S et al. MDR-AB as an emerging concern in hospitals. Mol Biol Rep. 2021 Oct;48(10):6987-6998. doi: 10.1007/s11033-021-06690-6. Epub 2021 Aug 30. PMID: 34460060; PMCID: PMC8403534.</ref>. 국내에서 의료관련 감염병의 다제내성균 6종 중 하나이며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사람 피부에서도 수일간 생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환자실에서 기계 환기, 기관절제, 장기 재원하고 있는 경우에 MDR-AB가 폐렴, 요로, 혈류 감염을 일으킨다<ref name=r2 />.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DR-AB) 는 제4급 법정 감염병으로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을 나타내며, 국내외에서 점차적으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f>Neonakis IK et al. Confronting MDR-AB : a review. ''Int J Antimicrob Agents''. 2011 Feb;37(2):102-9. [https://pubmed.ncbi.nlm.nih.gov/21130607/ 연결]</ref><ref>Ibrahim S et al. MDR-AB as an emerging concern in hospitals. Mol Biol Rep. 2021 Oct;48(10):6987-6998. doi: 10.1007/s11033-021-06690-6. Epub 2021 Aug 30. PMID: 34460060; PMCID: PMC8403534.</ref>. 국내에서 의료관련 감염병의 다제내성균 6종 중 하나이며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사람 피부에서도 수일간 생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환자실에서 기계 환기, 기관절제, 장기 재원하고 있는 경우에 MDR-AB가 폐렴, 요로, 혈류 감염을 일으킨다<ref name=r2 />.
== 소견 ==
== 소견 ==
각막염이 발병되면 충혈, 시력장애, 눈부심과 함께 심한 안통이 나타나는데 통증의 정도가 각막 손상의 정도에 비해 매우 심한 것이 특징이다.
각막염이 발병되면 충혈, 시력장애, 눈부심과 함께 심한 안통이 나타나는데 통증의 정도가 각막 손상의 정도에 비해 매우 심한 것이 특징이다<ref name=r8 />.
== 치료 ==
== 치료 ==
 
아시네토박터 각막염은 조기 진단이 어려워 잘못하면 비효과적으로 부적절한 치료가 행해질 수 있으므로 올바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데<ref name=r8 />, 변연 절제술을 통한 생검 후 약물 치료 병행이 좋은 치료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ref name=r3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