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14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5월 19일 (일)
잔글
잔글 (→‎역학)
잔글 (→‎역학)
4번째 줄: 4번째 줄:


== 역학 ==
== 역학 ==
주로 유색 인종에 많기는 하지만 모든 인종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발생 위치도 시신경 유두 이측보다는 황반이 더 많고 드물게는 주변부에서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주로 유색 인종에 많기는 하지만 모든 인종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발생 위치도 시신경 유두 이측보다는 황반이 더 많고 드물게는 주변부에서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ref>Yannuzzi LA et al. The expanding clinical spectrum of idiopathic PCV. ''Arch Ophthalmol''. 1997 Apr;115(4):478-85. [https://pubmed.ncbi.nlm.nih.gov/9109756/ 연결]</ref><ref>이원기 등, 결절성 맥락막 혈관병증, ''한안지'' 2000;41(12):2573-2584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4174 연결]</ref><ref>Sho K et al. PCV : incidence, demographic featur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rch Ophthalmol''. 2003 Oct;121(10):1392-6. [https://pubmed.ncbi.nlm.nih.gov/14557174/ 연결]</ref>.


발생 연령은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과 비슷하지만, 좀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하기도 하며, 남자에서 조금 더 자주 발생한다. 동양인에서 호발하며, 동양인 노년층에서 황반 출혈, 삼출 병변의 약 30~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빈도의 차이는 ICGA에서 파악되는 결절의 형태학적 정의가 모호하기 때문이다. 서양인에서는 10% 정도 차지한다. 동양인에서는 황반형이 거의 대부분이며, 서양인에서도 황반형이 많기는 하지만 시신경유두 주위형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양안성 경향은 20~30%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흡연이나 고혈압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ref>Byeon SH et al. Incidence and clinical patterns of PCV in Korean patients. ''Jpn J Ophthalmol''. 2008 Jan-Feb;52(1):57-62. [https://pubmed.ncbi.nlm.nih.gov/18369702/ 연결]</ref><ref>Wong CW et al. AMD and PCV in Asians. ''Prog Retin Eye Res''. 2016 Jul;53:107-139. [https://pubmed.ncbi.nlm.nih.gov/27094371/ 연결]</ref>.
발생 연령은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과 비슷하지만, 좀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하기도 하며, 남자에서 조금 더 자주 발생한다. 동양인에서 호발하며, 동양인 노년층에서 황반 출혈, 삼출 병변의 약 30~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빈도의 차이는 ICGA에서 파악되는 결절의 형태학적 정의가 모호하기 때문이다. 서양인에서는 10% 정도 차지한다. 동양인에서는 황반형이 거의 대부분이며, 서양인에서도 황반형이 많기는 하지만 시신경유두 주위형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양안성 경향은 20~30%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흡연이나 고혈압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ref>Byeon SH et al. Incidence and clinical patterns of PCV in Korean patients. ''Jpn J Ophthalmol''. 2008 Jan-Feb;52(1):57-62. [https://pubmed.ncbi.nlm.nih.gov/18369702/ 연결]</ref><ref>Wong CW et al. AMD and PCV in Asians. ''Prog Retin Eye Res''. 2016 Jul;53:107-139. [https://pubmed.ncbi.nlm.nih.gov/27094371/ 연결]</ref>.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