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막 산소 공급: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89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0일 (목)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고식적 심폐소생술에 비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면서 그에 따른 합병증 발생 빈도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ref name=r2>Zangrillo A et al. A meta-analysis of complications and mortality of ECMO. ''Crit Care Resusc''. 2013 Sep;15(3):172-8. [https://pubmed.ncbi.nlm.nih.gov/23944202/ 연결]</ref>. ECMO 삽입 자체가 하지허혈, 출혈, 감염, 혈소판 감소증, 혈전증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허혈성 뇌손상 등의 신경학적 문제, 급성 신손상, 허혈성 심근손상 및 폐부종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2 />.
고식적 심폐소생술에 비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면서 그에 따른 합병증 발생 빈도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ref name=r2>Zangrillo A et al. A meta-analysis of complications and mortality of ECMO. ''Crit Care Resusc''. 2013 Sep;15(3):172-8. [https://pubmed.ncbi.nlm.nih.gov/23944202/ 연결]</ref>. ECMO 삽입 자체가 하지허혈, 출혈, 감염, 혈소판 감소증, 혈전증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허혈성 뇌손상 등의 신경학적 문제, 급성 신손상, 허혈성 심근손상 및 폐부종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2 />.
=== [[허혈 시신경병증]] (ION) ===
=== [[허혈 시신경병증]] (ION) ===
시신경 혈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허혈 시신경병증|ION]]이 발생하여 시력 소실 및 시야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ref>Wirth CD et al. Bilateral PION after severe diabetic ketoacidosis, CPR and respiratory failure. ''BMJ Case Rep''. 2013 Feb 14;2013:bcr2012008291. [https://pubmed.ncbi.nlm.nih.gov/23417383/ 연결]</ref>.
시신경 혈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허혈 시신경병증|ION]]이 발생하여 시력 소실 및 시야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ref>Wirth CD et al. Bilateral PION after severe diabetic ketoacidosis, CPR and respiratory failure. ''BMJ Case Rep''. 2013 Feb 14;2013:bcr2012008291. [https://pubmed.ncbi.nlm.nih.gov/23417383/ 연결]</ref>. Assawakawintip 등<ref>Assawakawintip C et al. Incidence of ION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20y Experience. ''J Cardiothorac Vasc Anesth''. 2021 Jan;35(1):35-38. [https://pubmed.ncbi.nlm.nih.gov/32843271/ 연결]</ref>은 ECMO 등 심폐 우회 장치를 적용한 44,568명 중 10,000명당 0.2명에서 [[허혈 시신경병증|ION]]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고, Nuttall 등<ref>Nuttall GA et al. RFs for ION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a matched case/control study. ''Anesth Analg''. 2001 Dec;93(6):1410-6, table of contents. [https://pubmed.ncbi.nlm.nih.gov/11726415/ 연결]</ref>은 심폐 우회 장치 적용 후 시력저하를 호소한 17명의 환자 중, 53%에서 양안성이었고, 71%에서 시신경 유두 부종 소견을 보였으며, 53%에서 안전 수지보다 심한 시력 저하를 보였고, 59%에서 전시야 결손을 보였다고 하였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