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기전)
3번째 줄: 3번째 줄:
1800년대 의사인 Xavier Glezowsk가 'Plaquettes' 라는 젤라틴 물질을 이용한 치료용 렌즈를 처음 사용한 이래, Miller가 유리로 보호용 덮개를 [[토안]] 환자에게 21년간 착용시켰다는 기록이 있다.1950년대 후반 PMMA [[하드 콘택트렌즈]]를 백내장 수술 후 시력 보완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도 1960년대 초부터 사용하였다.<br />&nbsp;&nbsp;1970년대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소개와 더불어 치료용 렌즈의 사용도 많은 발전을 하게 되었는데, 1973년 American Optical 사가 치료용 렌즈를 FDA로부터 공인 받았으며, 1975년 바슈롬 사의 'Plano-T'를, 1979년도에는 Copper 사의 'Perma' 렌즈가 치료용으로 개발되어 각막 미란, 마비성 각막염, 각막 천공 등에 사용되었다. 또한 Breath-O 렌즈와 Perma 렌즈가 무수정체안에 연속 착용 렌즈로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치료용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가격이 비싸고 산소 투과성이 낮고 소독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으나, 1987년 이후에는 가격이 싸고 소독이 필요 없는 일회용 렌즈로 대체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상피 재생 장애, 수포 각막병증, 반복 각막 미란, 실모양 각막염 등의 치료 목적 뿐만 아니라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 후에도 통증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졌다.
1800년대 의사인 Xavier Glezowsk가 'Plaquettes' 라는 젤라틴 물질을 이용한 치료용 렌즈를 처음 사용한 이래, Miller가 유리로 보호용 덮개를 [[토안]] 환자에게 21년간 착용시켰다는 기록이 있다.1950년대 후반 PMMA [[하드 콘택트렌즈]]를 백내장 수술 후 시력 보완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도 1960년대 초부터 사용하였다.<br />&nbsp;&nbsp;1970년대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소개와 더불어 치료용 렌즈의 사용도 많은 발전을 하게 되었는데, 1973년 American Optical 사가 치료용 렌즈를 FDA로부터 공인 받았으며, 1975년 바슈롬 사의 'Plano-T'를, 1979년도에는 Copper 사의 'Perma' 렌즈가 치료용으로 개발되어 각막 미란, 마비성 각막염, 각막 천공 등에 사용되었다. 또한 Breath-O 렌즈와 Perma 렌즈가 무수정체안에 연속 착용 렌즈로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치료용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가격이 비싸고 산소 투과성이 낮고 소독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으나, 1987년 이후에는 가격이 싸고 소독이 필요 없는 일회용 렌즈로 대체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상피 재생 장애, 수포 각막병증, 반복 각막 미란, 실모양 각막염 등의 치료 목적 뿐만 아니라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 후에도 통증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졌다.
== 기전 ==
== 기전 ==
* 물리적 장벽의 역할
* 물리적 장벽의 역할 : 노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눈꺼풀의 기능 이상이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 노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눈꺼풀의 기능 이상이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 [[속눈썹증]], [[눈꺼풀 속말림]]이 있는 경우 눈썹으로부터 각막 보호
** [[속눈썹증]], [[눈꺼풀 속말림]]이 있는 경우 눈썹으로부터 각막 보호
** 재상피화가 있어나고 있는 경우 새로운 조직의 보호
** 재상피화가 있어나고 있는 경우 새로운 조직의 보호
* 부목의 역할 : 각막 천공이나 데스메막류가 생겼을 경우 약해진 부분의 구조적인 지지
* 부목의 역할 : 각막 천공이나 데스메막류가 생겼을 경우 약해진 부분의 구조적인 지지
* 상피 결손과 연관된 통증의 조절 : 수포 각막병증과 같은 질환에서 증상 완화를 위해
* 상피 결손과 연관된 통증의 조절 : [[수포 각막병증]]과 같은 질환에서 증상 완화를 위해
* 각막 상피 재생의 촉진 : [[반복 각막 진무름]]이나 만성 상피 결손 등의 질환에서 치유를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눈꺼풀로부터 새로 형성된 약한 상피세포를 보호하여 재상피화가 일어날 수 있게 도와준다.
* 각막 상피 재생의 촉진 : [[반복 각막 진무름]]이나 만성 상피 결손 등의 질환에서 치유를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눈꺼풀로부터 새로 형성된 약한 상피세포를 보호하여 재상피화가 일어날 수 있게 도와준다.
* 각막 표면에 약물 전달 : hydrogel 렌즈는 여러 종류의 다른 안약을 점안 시보다 오랜 시간 동안 약물이 안구 표면과 접촉할 수 있게 한다.
* 각막 표면에 약물 전달 : 하이드로겔 렌즈는 여러 종류의 다른 안약을 점안 시보다 오랜 시간 동안 약물이 안구 표면과 접촉할 수 있게 한다.
* 각막 표면의 수분 유지 : 심한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TCL은 인공 누액와 함께 각막 표면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막 렌즈는 건조증이 있는 호나자에서 렌즈 밑의 수분을 유지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각막 표면의 수분 유지 : 심한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TCL은 인공 누액와 함께 각막 표면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막 렌즈는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렌즈 밑의 수분을 유지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효과 ==
== 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