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반복 각막 진무름) |
잔글 (→수술 후 보조)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반복 각막 진무름]] === | === [[반복 각막 진무름]] === | ||
=== 수술 후 보조 === | === 수술 후 보조 === | ||
수술 후 빠른 각막 상처의 치유를 위해 친수성 TCL이 사용될 수 있으며, 노출된 봉합사로부터 눈꺼풀을 보호하고 통증을 줄이기 위한 목적도 있다. 빠른 시력 회복이 필요하다면 TCL에 도수를 넣을 수 있지만, 난시가 있다면 RGP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시력 호전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수술 후 초기에 렌즈를 사용하는 것은 이식된 약한 각막에 생리적 스트레스를 가하여 거부반응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 |||
한다. 각막이식 후 수술 부위가 벌어질 경우 중등도 함수율의 딱딱하고 가파른 TCL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유할 수 있다. 하지만 렌즈를 오래 착용하면 각막 부종과 신생혈관 형성의 위험이 따르므로 조심해야 한다. [[섬유주 절제술]] 후 여과포의 누출에서는 18~24 mm 정도의 직경이 큰 TCL이 필요하다. 또한 윤부 줄기세포 이식 시에도 두꺼운 봉합사로부터 눈꺼풀을 보호하기 위해 큰 직경의 렌즈가 필요하다. 그 외 상층 각막성형술,표면 각막 절제,굴절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 후 통증 경감과 각막상피 치유의 촉진을 위해 사용된다. Dk/t가 높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사용하면 Dk/t가 낮은 렌즈보다 통증이 감소하고, 각막 표면 산소 이용도가 증가하며, 상피화 기간이 단축되고. 기질 혼탁의 빈도가 감소 한다. 따라서 굴절교정 수술 후에는 연속 착용 TCL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사용하게 된다. | |||
=== 반흔 각결막염 === | === 반흔 각결막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