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59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25번째 줄: 25번째 줄:


=== [[반복 각막 진무름]] ===
=== [[반복 각막 진무름]] ===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결막의 충혈 및 염증이 거의 없는 거친 양상의 점상 상피각막염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각막 중심부와 시축에 주로 혼탁이 생긴다. 질병 경과는 대부분 만성적이며 한 번에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지속되는 악화와 호전이 특징이다. 양안성이나, 양안이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비대칭적인 병변이 발견되기도 한다. 활성기에 환자는 눈부심, 이물감, 눈물 흘림과 병변의 위치에 따라 시력 감소를 호소할 수 있다. 세극등 검사에서 별이나 눈송이 모양의 상피 내 점상 침착물이 수많은 미세한 과립상의 회백색 점상 혼탁을 이루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피 표면을 뚫고 중심부가 솟아올라 있어, 불규칙적인 각막 표면을 형성하므로 형광염색 시 불완전하게 염색되며, 이 불규칙한 표면 때문에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회복기에 환자는 무증상이며, 각막 병변도 편평해지고, 희미한 회색의 혼탁이 보이거나 완전히 보이지 않을 수 있다. SCL은 증상을 완화하며 상피 병변의 회복을 유도하고, 불규칙직인 각막 표면을 호전시키므로 시력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낮은 함수율의 매우 얇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증상을 완화하며 유용하게 사용된다<ref>Caroline PJ et al. When the eye need a bandage. ''Contact Lens Spectrum'' 2001;16:56.</ref>.
=== [[실모양 각막염]] ===
=== [[실모양 각막염]] ===
각막 표면에 실모양의 점액 가닥이 유착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환자는 이물감과 통증을 느끼고, 주로 건성 각결막염, [[상윤부 각결막염]] 및 류마티스 질환과 같은 전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23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상피 바닥막이나 보우만층의 손상이 있을 경우 국소 바닥막의 박리가 일어나고 그 결과 약간 상승된 부분이 점액 가닥과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의 수용체 역할을 하며 다시 헐거워진 상피세포가 실모양체를 만든다. SCL은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상피 표면을 물리 적으로 보호하고. 외상을 입은 바닥막이 더 이상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Dk/t가 높고 함수율이 낮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치료로 가장 적합하며, 상피 바닥세포가 바닥막에 재유착되는 것을 도와 실모양체 형성이 가능한 유기된 부분의 발생을 막는다.
각막 표면에 실모양의 점액 가닥이 유착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환자는 이물감과 통증을 느끼고, 주로 건성 각결막염, [[상윤부 각결막염]] 및 류마티스 질환과 같은 전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23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상피 바닥막이나 보우만층의 손상이 있을 경우 국소 바닥막의 박리가 일어나고 그 결과 약간 상승된 부분이 점액 가닥과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의 수용체 역할을 하며 다시 헐거워진 상피세포가 실모양체를 만든다. SCL은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상피 표면을 물리 적으로 보호하고. 외상을 입은 바닥막이 더 이상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Dk/t가 높고 함수율이 낮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치료로 가장 적합하며, 상피 바닥세포가 바닥막에 재유착되는 것을 도와 실모양체 형성이 가능한 유기된 부분의 발생을 막는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