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70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29번째 줄: 29번째 줄:


=== [[실모양 각막염]] ===
=== [[실모양 각막염]] ===
각막 표면에 실모양의 점액 가닥이 유착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환자는 이물감과 통증을 느끼고, 주로 건성 각결막염, [[상윤부 각결막염]] 및 류마티스 질환과 같은 전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23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상피 바닥막이나 보우만층의 손상이 있을 경우 국소 바닥막의 박리가 일어나고 그 결과 약간 상승된 부분이 점액 가닥과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의 수용체 역할을 하며 다시 헐거워진 상피세포가 실모양체를 만든다. SCL은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상피 표면을 물리 적으로 보호하고. 외상을 입은 바닥막이 더 이상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Dk/t가 높고 함수율이 낮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치료로 가장 적합하며, 상피 바닥세포가 바닥막에 재유착되는 것을 도와 실모양체 형성이 가능한 유기된 부분의 발생을 막는다.
각막 표면에 실모양의 점액 가닥이 유착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환자는 이물감과 통증을 느끼고, 주로 건성 각결막염, [[상윤부 각결막염]] 및 류마티스 질환과 같은 전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ref>Kowalik BM et al. Filamentary keratitis - the clinical challenges. ''J Am Optom Assoc''. 1991 Mar;62(3):200-4. [https://pubmed.ncbi.nlm.nih.gov/1813523/ 연결]</ref>.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상피 바닥막이나 보우만층의 손상이 있을 경우 국소 바닥막의 박리가 일어나고 그 결과 약간 상승된 부분이 점액 가닥과 변성된 각막 상피세포의 수용체 역할을 하며 다시 헐거워진 상피세포가 실모양체를 만든다. SCL은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상피 표면을 물리 적으로 보호하고. 외상을 입은 바닥막이 더 이상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Dk/t가 높고 함수율이 낮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치료로 가장 적합하며, 상피 바닥세포가 바닥막에 재유착되는 것을 도와 실모양체 형성이 가능한 유기된 부분의 발생을 막는다.
 
=== 만성 각막상피 결손 ===
=== 만성 각막상피 결손 ===
만성상피 결손의 원인은 단순포진과 대상포진에 의한 영양 각막궤양, 열 화상 및 화학 화상, 수술 후 상처 치유 불량, 점안 마취약 과용 등의 안약 독성 및 신경마비 각막염. 각막윤부 결핍 등이 있다. SCL은 궤양의 진행을 억제하고 상피를 보호하여 재형성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서 TCL을 착용하게 되면 급격히 악화되며, 그때는 감염 때문인지 상피 결손 때문인지 감별하는 것이 힘들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만성상피 결손의 원인은 단순포진과 대상포진에 의한 영양 각막궤양, 열 화상 및 화학 화상, 수술 후 상처 치유 불량, 점안 마취약 과용 등의 안약 독성 및 신경마비 각막염. 각막윤부 결핍 등이 있다. SCL은 궤양의 진행을 억제하고 상피를 보호하여 재형성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서 TCL을 착용하게 되면 급격히 악화되며, 그때는 감염 때문인지 상피 결손 때문인지 감별하는 것이 힘들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