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1,45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63번째 줄: 63번째 줄:


== 합병증 ==
== 합병증 ==
질병이 있는 눈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시,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충혈이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고, 경도의 전방 염증 및 신생혈관이 형성될 수 있다. 기질 궤양의 치료에는 표면 신생혈관이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사실 대부분의 이런 눈은 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신생혈관이 형성되는 것은 그리 나쁜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질환에 의한 특이 병변이 있다면, 각막 부종이 간과되기 쉽다.
질병이 있는 눈에 콘택트렌즈 착용  
{{참고|안과검사|콘택트렌즈}}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다. 충혈이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고,경도의 전방 염증 및 신생혈관이 형성될 수 있다.
궤양의 치료에는 표면 신생혈관이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사실 대부분의 이런 눈은시력 예후가좋지 않으므
로 신생혈관의 형성이 그리 나쁜 영향을주지 않을수 있다.  
만약 질환에 의한 특이병변이 있다면,렌즈에 의한 각막부
종이 간과되기 쉽다.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는 기존의 하이
드로겔렌즈가 가지 던 저산소증의 문제를 극복하였으나,여
전히 염증,감염 그리고 찰과상의 문제는 가지고 있다. 이물
질의 렌즈 침착이 일어날 수 있고,특정 약물을 동시 /ᅵ용
시 렌즈의 변색이 생길 수도 있다{표 9-6). 유두결막염과 같
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렌즈 교체가 필요할
수 있으며,대부분의 무균성 각막 침윤은 렌즈 제거 시 특이  
후유증 없이 사라지지만,세균각막염의 초기 징후일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후향적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
의 콘택트렌즈 관련 각막궤양은 수포각막병증을 가진 환자
에서 일어났으며,그 다음으로 신경영양각막염 및 노출각
막염이 두 번째로 흔한 원인이 었다. 이 러한 합병증들은 정
기적 추후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우며,환자의 추적 관찰이
정기적으로 가능할 때만 치료콘택트렌즈를 처방하여야 한
다고 강조한다. 치료콘택트렌즈의 위험성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장착 전에 비교하여 환자에게 설명해 줄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TCL도 합병증의 위험이 있으니 각막 곡률, 각막 형태 검사 및 임상 검사를 통해 본인에게 맞는 타입의 TCL을 처방하고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을 하여야 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