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1,64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68번째 줄: 68번째 줄:


== 추가 용도 ==
== 추가 용도 ==
하이드로겔 렌즈는 안압계 등 각막과 직접 접촉하는 검사들로부터 각막을 보호할 수 있다. 어 떤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안압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안압을 재기 위해 렌즈를 제거할 수도 있지만, [[반복 각막 진무름]]과 같은 질환을 치료 중인 환자가 렌즈를 제거하는 것은 오히려 병의 경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비접촉성 안압계를 이용하거나 접촉 안압계를 사용해야 한다면 하얀 빛이나 고분자량의 플루오레신을 이용하여 TCL 위로 안압을 절 수 있다. 렌즈를 제거하고 전 안압과 매우 얇은 렌즈 위로 잰 안압은 비슷하다고 한 결과도 있고<ref>Meyer RF et al. Mackay-Marg tonometry over soft TCL. ''AJO''. 1978 Jul;86(1):19-23. [https://pubmed.ncbi.nlm.nih.gov/354394/ 연결]</ref>, 도수가 들어간 렌즈를 착용한 경우 좋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 결과도 있다<ref>Insler MS et al. IOP by NCT w and wo SCL. ''Arch Ophthalmol''. 1987 Oct;105(10):1358-9. [https://pubmed.ncbi.nlm.nih.gov/3662907/ 연결]</ref>.
그 외에도 [[당뇨 망막병증]] 환자에서 망막의 광응고술 시행 시나 공막 함입술 시 각막 상피를 보호하거나, [[원추각막]] 혹은 다른 각막 이상이 있는 질환에서 피기백 (pIggyback) 장착 시 환자의 편안감을 위해, 또는 [[원추각막]] 환자가 접촉성 스포츠를 할 때 RGP렌즈 위로 하이드로겔 렌즈를 장착시켜 렌즈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 합병증 ==
== 합병증 ==
질병이 있는 눈에 콘택트렌즈 착용 시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다. 충혈이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고, 경도의 전방 염증 및 신생혈관이 형성될 수 있다. 기질 궤양의 치료에는 표면 신생혈관이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질병이 있는 눈에 콘택트렌즈 착용 시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다. 충혈이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고, 경도의 전방 염증 및 신생혈관이 형성될 수 있다. 기질 궤양의 치료에는 표면 신생혈관이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사실 대부분의 이런 눈은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신생혈관의 형성이 그리 나쁜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질환에 의한 특이 병변이 있다면, 렌즈에 의한 각막 부종이 간과되기 쉽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가 가지던 저산소증의 문제를 극복하였으나, 여전히 염증,감염 그리고 찰과상의 문제는 가지고 있다. 이물질의 렌즈 침착이 일어날 수 있고,특정 약물을 동시 사용 시 렌즈의 변색이 생길 수도 있다. 유두 결막염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렌즈 교체가 필요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무균성 각막 침윤은 렌즈 제거 시 특이 후유증 없이 사라지지만, 세균 각막염의 초기 징후일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후향적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CL 관련 각막 궤양은 수포 각막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일어났으며, 그 다음으로 [[신경영양 각막염]] 및 [[노출 각막염]]이 두 번째로 흔한 원인이 었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정기적 추후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우며,환자의 추적 관찰이 정기적으로 가능할 때만 TCL을 처방하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TCL의 위험성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장착 전에 비교하여 환자에게 설명해 줄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TCL도 합병증의 위험이 있으니 각막 곡률, 각막 형태 검사 및 임상 검사를 통해 본인에게 맞는 타입의 TCL을 처방하고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을 하여야 한다.
있으며, 사실 대부분의 이런 눈은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신생혈관의 형성이 그리 나쁜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질환에 의한 특이 병변이 있다면, 렌즈에 의한 각막 부종이 간과되기 쉽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가 가지던 저산소증의 문제를 극복하였으나, 여전히 염증,감염 그리고 찰과상의 문제는 가지고 있다. 이물질의 렌즈 침착이 일어날 수 있고,특정 약물을 동시 사용 시 렌즈의 변색이 생길 수도 있다. 유두 결막염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렌즈 교체가 필요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무균성 각막 침윤은 렌즈 제거 시 특이 후유증 없이 사라지지만, 세균 각막염의 초기 징후일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후향적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CL 관련 각막 궤양은 수포 각막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일어났으며, 그 다음으로 [[신경영양 각막염]] 및 [[노출 각막염]]이 두 번째로 흔한 원인이 었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정기적 추후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우며,환자의 추적 관찰이 정기적으로 가능할 때만 TCL을 처방하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TCL의 위험성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장착 전에 비교하여 환자에게 설명해 줄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TCL도 합병증의 위험이 있으니 각막 곡률, 각막 형태 검사 및 임상 검사를 통해 본인에게 맞는 타입의 TCL을 처방하고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을 하여야 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