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19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63번째 줄: 63번째 줄:


== 약물 투여 ==
== 약물 투여 ==
점안제나 연고로 약을 점안했을 때 처음에는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빠른 속도로 농도가 감소하여 효과에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농도로 안약을 점안하면 오히려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친수성 CL은 긴 시간 천천히 저용량의 약을 안구표면에 공급할 수 있어, 효과는 높이면서 독성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여러 방법을 통해 약을 하이드로겔 렌즈에 추가시킬 수 있는데,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은 약의 수용성 구조에 렌즈를 적시는 것이다, 이 외에도 눈에 노출되면 하이드로겔 렌즈에서 확산되어 나와 활성화된 구조로 바뀌는 수용성 약물 전구체를 이용하거나, 렌즈 중합체에 약물을 유착시켜 안구 표면이나 눈물에 노출되면 약물과 렌즈 중합체간의 결합이 끊어져서 약이 유출되게 하는 방법 등이 쓰인다. 한 연구에서는 약물 전달의 방법으로 친수성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였고, 각막 및 전방 내에 높은 농도의 약을 유지시키는 데는 친수성 렌즈가 좋다고 결론지었다.24 이후 [[필로카르핀]], 젠타마이신 (gentamycin), 5-iodo-2-desoxyuridine (IDU) 등 여러 약제를 하이드로겔 렌즈를 통해 전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점안제나 연고로 약을 점안했을 때 처음에는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빠른 속도로 농도가 감소하여 효과에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농도로 안약을 점안하면 오히려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친수성 CL은 긴 시간 천천히 저용량의 약을 안구표면에 공급할 수 있어, 효과는 높이면서 독성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여러 방법을 통해 약을 하이드로겔 렌즈에 추가시킬 수 있는데,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은 약의 수용성 구조에 렌즈를 적시는 것이다, 이 외에도 눈에 노출되면 하이드로겔 렌즈에서 확산되어 나와 활성화된 구조로 바뀌는 수용성 약물 전구체를 이용하거나, 렌즈 중합체에 약물을 유착시켜 안구 표면이나 눈물에 노출되면 약물과 렌즈 중합체간의 결합이 끊어져서 약이 유출되게 하는 방법 등이 쓰인다. 한 연구에서는 약물 전달의 방법으로 친수성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였고, 각막 및 전방 내에 높은 농도의 약을 유지시키는 데는 친수성 렌즈가 좋다고 결론지었다<ref>Waltman SR et al. Use of hydrophilic CL to increase ocular penetration of topical drugs. ''Invest Ophthalmol''. 1970 Apr;9(4):250-5. [https://pubmed.ncbi.nlm.nih.gov/5435768/ 연결]</ref>. 이후 [[필로카르핀]], 젠타마이신 (gentamycin), 5-iodo-2-desoxyuridine (IDU) 등 여러 약제를 하이드로겔 렌즈를 통해 전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약의 분자량은 친수성 렌즈에 의해 얼마나 흡수되는지에 영힝을 주는데, 큰 분자링을 가진 물질은 적은 분자량을 가지는 물질에 비해 덜 통과된다. 두껍고 함수율이 높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얇고 저함수율의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더 많은 양의 수용성 약물을 흡수하고,더 빨리 안구 표면으로 방출하므로 약물 투여 렌즈로 적합하다.
약의 분자량은 친수성 렌즈에 의해 얼마나 흡수되는지에 영힝을 주는데, 큰 분자링을 가진 물질은 적은 분자량을 가지는 물질에 비해 덜 통과된다. 두껍고 함수율이 높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얇고 저함수율의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더 많은 양의 수용성 약물을 흡수하고,더 빨리 안구 표면으로 방출하므로 약물 투여 렌즈로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