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약물 투여) |
잔글 (→수포 각막병증)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 [[수포 각막병증]] === | === [[수포 각막병증]] === | ||
이 질환은 각막 내피세포의 기능 저하로 만성 각막 부종이 생기는 것으로서, 통증, 눈물 흘림, 눈꺼풀 경련, 눈부심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각막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침범 당하게 되고, 심한 부종으로 인해 뿌옇게 변하게 되어 시력 감소를 일으킨다. 각막 상피에 물집이 잡히게 되는데, 물집이 터지면 신경 말단이 노출되어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급성으로 상피 부종이 일어날 경우에도 신경 말단이 늘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 |||
최근에 발병되어 주로 각막 상피에 병변이 있는 경우, 친수성 TCL 착용 시 대부분 즉각적으로 통증이 완화되고 시력 호전에도 도움을 준다<ref>Gasset AR et al. Therapeutic uses of hydrophilic contact lenses. ''AJO''. 1970 Feb;69(2):252-9. [https://pubmed.ncbi.nlm.nih.gov/5414007/ 연결]</ref>. 무수정체 환자에서는 질환 치료와 동시에 굴절 이상을 교정하기 위해 도수가 들어간 렌즈를 장착할 수 있다<ref>Speedswll L. A review of therapeutic lenses. ''Optician'' 1991;202:25-30.</ref>. 하지만 육안적으로 각막 기질 부종과 데스메막의 주름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 시력 호전은 적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ref>Leibowitz HM et al. Hydrophilic CL in corneal disease. II. Bullous keratopathy. ''Arch Ophthalmol''. 1971 Mar;85(3):283-5. [https://pubmed.ncbi.nlm.nih.gov/5542864/ 연결]</ref>. 렌즈 제거 시 통증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 지속적으로 착용하게 되나, 렌즈의 착용 기간은 질환의 심한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각막 주변부 신생혈관은 추후 각막이식의 성공률을 결정하는 한 요소이긴 하지만 렌즈 장착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편안함 정도이다. 두껍고 함수이 높은 렌즈를 기본 커브가 편평하게 처방하면 물집을 물리적으로 편평하게 만들고,함수율이 높은 렌즈는 각막 상피의 탈수 효과를 나타낸다. 렌즈 선택 시 Dk/t도 고려해야 하며, 이 경우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가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다. TCL의 사용에 관한 연구에서 몇몇 수포 각막병증 환자들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딱딱함 때문에 편안함이 덜하다고 느꼈는데<ref>Montero J et al. Retrospective case series of therapeutic applications of lotrafilcon a silicone hydrogel SCL. ''Eye Contact Lens''. 2003 Apr;29(2):72-5. [https://pubmed.ncbi.nlm.nih.gov/12695706/ 연결]</ref> 2세대 렌즈들은 착용 시 불편감이 덜하다. | |||
=== [[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푹스 내피세포 이상증]] === | === [[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푹스 내피세포 이상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