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22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30번째 줄: 30번째 줄:


=== [[반복 각막 진무름]] ===
=== [[반복 각막 진무름]] ===
바닥막복합체 (basement membrane complex) 의 손상으
로 인해 기질이 상피에 단단하게 붙지 못하여 발생하고,바
이 러스성 및 세균각막염과 각막이상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동반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손가락에 의한눈 찔림과
같은 각막의 경한 외상이며,이는 만성적으로 각막미란의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그림 9-1). 그 결과 기 저막이 불완전
하게 재형성되는 몇개월 동안은 만성적으로 고통스러운^^
막상피미란의 재발이 반복될 수 있다. 소프트콘택트렌'즈
물리 적으로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재형성된 약한 각막상
피를 보호하여 재상피화와 상처 치유를 돕는다. 완전한 상
피화가 일어나게 된 경우 하이드로겔렌즈는 각막
정화께 기여하고,완전한 상피화가 일어나면 하이드로질^
즈는 각막상피 안정화에 기여하고,몇 개월에 걸쳐 바
체가 완전히 재형성되는 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
서 완전한 재상피화를 위해서는 오랜 기간 치료콘택트레즈
를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상피 벗겨짐이 대부분 밤이ᅴ침 기상 시 막 눈을 뜰 때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
인 렌즈 착용이 권유된디•. 이 질환에서 일회용 렌즈는 기존
렌즈에 비해 편하고 가격 대비 효율적이다. Dk/t가높고두
께가 얇은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를 사용하면 치료 성공률
이 높고 각막부종도 적다. 잘 낫지 않는 반복각막짓무름이
나 수술 후 생긴 각막상피 병증이 lotrafilcon A의 실리콘하
이드로겔렌즈로 치료에 성공한 15예가 발표된 적도 있다.21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제2세대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는
눈에 더 편안감을 준다. 이 질환에는 렌즈 외에도 윤활제,
고장성 약물,점 안 항생제나 조절 마비제가 필요할 수 있다.
종종 기계적인 창상 절제 및 압박 안대의 치료가 도움이 되
지만,수일의 치유 과정이 필요하거나 지속적인 통증 및 드
레싱으로 인한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결막의 충혈 및 염증이 거의 없는 거친 양상의 점상 상피각막염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각막 중심부와 시축에 주로 혼탁이 생긴다. 질병 경과는 대부분 만성적이며 한 번에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지속되는 악화와 호전이 특징이다. 양안성이나, 양안이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비대칭적인 병변이 발견되기도 한다. 활성기에 환자는 눈부심, 이물감, 눈물 흘림과 병변의 위치에 따라 시력 감소를 호소할 수 있다. 세극등 검사에서 별이나 눈송이 모양의 상피 내 점상 침착물이 수많은 미세한 과립상의 회백색 점상 혼탁을 이루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피 표면을 뚫고 중심부가 솟아올라 있어, 불규칙적인 각막 표면을 형성하므로 형광염색 시 불완전하게 염색되며, 이 불규칙한 표면 때문에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회복기에 환자는 무증상이며, 각막 병변도 편평해지고, 희미한 회색의 혼탁이 보이거나 완전히 보이지 않을 수 있다. SCL은 증상을 완화하며 상피 병변의 회복을 유도하고, 불규칙직인 각막 표면을 호전시키므로 시력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낮은 함수율의 매우 얇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증상을 완화하며 유용하게 사용된다<ref>Caroline PJ et al. When the eye need a bandage. ''Contact Lens Spectrum'' 2001;16:56.</ref>.
결막의 충혈 및 염증이 거의 없는 거친 양상의 점상 상피각막염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각막 중심부와 시축에 주로 혼탁이 생긴다. 질병 경과는 대부분 만성적이며 한 번에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지속되는 악화와 호전이 특징이다. 양안성이나, 양안이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비대칭적인 병변이 발견되기도 한다. 활성기에 환자는 눈부심, 이물감, 눈물 흘림과 병변의 위치에 따라 시력 감소를 호소할 수 있다. 세극등 검사에서 별이나 눈송이 모양의 상피 내 점상 침착물이 수많은 미세한 과립상의 회백색 점상 혼탁을 이루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피 표면을 뚫고 중심부가 솟아올라 있어, 불규칙적인 각막 표면을 형성하므로 형광염색 시 불완전하게 염색되며, 이 불규칙한 표면 때문에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회복기에 환자는 무증상이며, 각막 병변도 편평해지고, 희미한 회색의 혼탁이 보이거나 완전히 보이지 않을 수 있다. SCL은 증상을 완화하며 상피 병변의 회복을 유도하고, 불규칙직인 각막 표면을 호전시키므로 시력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낮은 함수율의 매우 얇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증상을 완화하며 유용하게 사용된다<ref>Caroline PJ et al. When the eye need a bandage. ''Contact Lens Spectrum'' 2001;16:56.</ref>.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