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반복 각막 진무름 (RCE))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반복 각막 진무름]] (RCE) === | === [[반복 각막 진무름]] (RCE) === | ||
바닥막 복합체의 손상으로 인해 기질이 상피에 단단하게 붙지 못하여 발생하고,바이러스성 및 세균 각막염과 각막 이상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동반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손가락에 의한 눈 찔림과 같은 각막의 경한 외상이며,이는 만성적으로 각막 미란의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저막이 불완전하게 재형성되는 몇개월 동안은 만성적으로 고통스러운 상피 미란의 재발이 반복될 수 있다. SCL은 물리적으로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재형성된 약한 각막상피를 보호하여 재상피화와 상처 치유를 돕는다. 완전한 상피화가 일어나게 된 경우 하이드로겔 렌즈는 상피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몇 개월에 걸쳐 반결합체가 완전히 재형성되는 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 바닥막 복합체의 손상으로 인해 기질이 상피에 단단하게 붙지 못하여 발생하고,바이러스성 및 세균 각막염과 각막 이상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동반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손가락에 의한 눈 찔림과 같은 각막의 경한 외상이며,이는 만성적으로 각막 미란의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저막이 불완전하게 재형성되는 몇개월 동안은 만성적으로 고통스러운 상피 미란의 재발이 반복될 수 있다. SCL은 물리적으로 눈꺼풀의 운동으로부터 재형성된 약한 각막상피를 보호하여 재상피화와 상처 치유를 돕는다. 완전한 상피화가 일어나게 된 경우 하이드로겔 렌즈는 상피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몇 개월에 걸쳐 반결합체가 완전히 재형성되는 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ref>Gipson IK et al. Reassembly of the anchoring structures of the corneal epithelium during wound repair in the rabbit. ''IOVS''. 1989 Mar;30(3):425-34. [https://pubmed.ncbi.nlm.nih.gov/2925314/ 연결]</ref>. 따라서 완전한 재상피화를 위해서는 오랜 기간 TCL을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상피 벗겨짐이 대부분 밤이나 아침 기상 시 막 눈을 뜰 때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렌즈 착용이 권유된다. | ||
이 질환에서 일회용 렌즈는 기존 렌즈에 비해 편하고 가격 대비 효율적이다. Dk/t가 높고 두께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사용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고 각막 부종도 적다. 잘 낫지 않는 RCE나 수술 후 생긴 각막 상피병증이 lotrafilcon A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로 치료에 성공한 15예가 발표된 적도 있다. | 이 질환에서 일회용 렌즈는 기존 렌즈에 비해 편하고 가격 대비 효율적이다. Dk/t가 높고 두께가 얇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사용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고 각막 부종도 적다. 잘 낫지 않는 RCE나 수술 후 생긴 각막 상피병증이 lotrafilcon A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로 치료에 성공한 15예가 발표된 적도 있다<ref>Ambroziak AM et al. Therapeutic use of a silicone hydrogel CL in selected clinical cases. ''Eye Contact Lens''. 2004 Jan;30(1):63-7. [https://pubmed.ncbi.nlm.nih.gov/14722474/ 연결]</ref>.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2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눈에 더 편안감을 준다. 이 질환에는 렌즈 외에도 윤활제, 고장성 약물, 점안 항생제나 조절 마비제가 필요할 수 있다. 종종 기계적인 창상 절제 및 압박 안대의 치료가 도움이 되지만, 수 일의 치유 과정이 필요하거나 지속적인 통증 및 드레싱으로 인한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 ||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 ===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SP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