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2,92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잔글 (→‎분류)
16번째 줄: 16번째 줄:
노출 각막염, 단순 포진과 대상 포진에 의한 영양 궤양 각막, 화학적 손상, 주변 각막 궤양 등의 만성 각막 상피 결손 및 기질 궤양, 각막 천공 및 데스메막류, 거짓 가장자리 각결막염, 눈알의 흉터, 건성안에서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노출 각막염, 단순 포진과 대상 포진에 의한 영양 궤양 각막, 화학적 손상, 주변 각막 궤양 등의 만성 각막 상피 결손 및 기질 궤양, 각막 천공 및 데스메막류, 거짓 가장자리 각결막염, 눈알의 흉터, 건성안에서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눈꺼풀 이상이 있는 경우 안구 표면을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일시적인 물리적 장벽의 역할도 하고 국소적으로 투여한 약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눈알 화상 시 결막 붙음증 예방 목적으로, 드물게는 가림 치료시 약시안에 치료용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 외 눈꺼풀 이상이 있는 경우 안구 표면을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일시적인 물리적 장벽의 역할도 하고 국소적으로 투여한 약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눈알 화상 시 결막 붙음증 예방 목적으로, 드물게는 가림 치료시 약시안에 치료용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분류 ==
== 종류 ==
* 고함수율의 렌즈 : 두께 0.15~2.0mm, 함수량 70~80%
=== 일회용 하이드로겔 ===
* 중간 두께의 렌즈
일회용 하이드로겔 CL은 [[반복 각막 진무름]],[[실모양 각막염]], [[수포 각막병증]], [[신경마비 각막병증]]8 등과 같은 질환에서 치료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치료용으로 쓰일 때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특히 낮은 가격으로 정기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렌즈 오염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렌즈 역시 기존의 렌즈와 마찬가지로 저산소증, 감염 각막염 등의 위험성이 있다.
* 초박 (ultrathin) 렌즈 : 두께 0.01~0.16mm, 함수율 약 40%
=== 실리콘 하이드로겔 ===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는 치료 목적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었으나9, 취침 시 착용할 경우 각막 부종을 피하기 위한 최소 수준의 Dk/t를 만족시키지 못했다10. 대부분의 TCL이 취침 시에도 착용되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높은 Dk/t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 장점으로 작용하며,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높은 Dk/t를 가진다.
* 낮은 함수율을 가지고 있어 눈에서 탈수를 덜 일으킨다.11
* 녹농균이 적게 붙는 경향이 있어 각막상피가 얇아질 가능성이 줄어들고, 각막 감염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눈물의 lactate dehydrogenase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12
 
몇몇의 연구에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치료 목적으로 시용한 결과를 발표하였는데,안구표면 질환에서 lotrafilcon A를 사용하면 안전하고 효과적이 라는 결과가 있었다. 특히 렌즈를 착용하고 교체하는 것이 각막상피 손상,통증 및 감염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환자에서, 이 렌즈는 자주 교제할 필요가 없어 장점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13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위로 높은 Dk를 가지는 RGP렌즈를 장착하여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된 결과도 있었다. SCL을 장착할 때는 필요로 하는 면적을 전부 커버해야 하고, 눈 깜박임 시 덜 움직여야 하며, 윤부 혈관을 누르지 않게 해야 한다.
=== 실리콘 고무 ===
실리콘 고무는 산소 투과율이 매우 높아 과거에 속눈썹증이나 눈꺼풀이 잘 감기지 않는 질환에서 TCL로 많이 쓰였다. 부드럽고 두께가 얇은 (0.1~0.15mm) 반면, 표면에 단백질과 점액이 쉽게 침착하고 지방을 흡수하
는 경향이 있어 사용 빈도가 감소하였다.
=== 하드 콘택트렌즈 (HCL) ===
HCL은 시력 교정 및 치료, 두 가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각막 직경보다 작긴 하지만,이상한 방향으로 자라난 속눈썹이나 다른 외부 요인들로부터 각막을 보호하기에는 충분하다. 가끔 직경이 큰 렌즈가 사용되기도 한다. [[원추각막]],[[공모양 각막]] 및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 등과 같은 질환에서는 각막 난시가 심해지기 때문에 양면 토릭 렌즈가 쓰이기도 한다.
 
== 적응증 ==
== 적응증 ==
=== [[수포 각막병증]] ===
=== [[수포 각막병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