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하드 콘택트렌즈 (HCL)) |
잔글 (→아교질 렌즈)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 밤새 착용이 가능하다. | * 밤새 착용이 가능하다. | ||
=== 아교질 렌즈 === | === 아교질 렌즈 === | ||
아교질은 이질적인 생물학적 환경에서 분해되며, 영구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결국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흡수성 봉합사,화상의 드레싱、안면부 연조직 증대술 등 여러 의학 목적으로 사용된다. 안과적 영역에서는 공막 돌륭술 재료, 눈물관 플러그, 외안부 패치 등에 사용된다. | |||
CL 모양의 collagen shields는 각막을 보호하고 각막 상피 상처의 치유를 촉진한다15. 아교질은 수용성 약물을 흡수하여 녹을 때 약물을 방출하므로 약물 투여에 이용될 수 있는데, 점안 안약이나 결막 주사보다 농도가 높은 약물을 안구 표면에 전달할 수 있다. | |||
=== 양막 렌즈 === | === 양막 렌즈 === | ||
양막은 EGE TGF-a, TGF-pl. TGF-p2, VEGE 促F 등 여러 가지 성장인사를 가시고 있어서 안구 표면 질환에 많이 이용되있다. 하지만 각막이나 결막에 봉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봉합사에 의한 합병증이 있었다. 최근 교차 결합을 이용한 CL 타입의 양막 렌즈가 개발되어 [[수포 각막병증]], [[각막 화상]], [[신경영양 각막염]], 만성 각막상피 결손 등에서 각막 상피 재생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 양막은 EGE TGF-a, TGF-pl. TGF-p2, VEGE 促F 등 여러 가지 성장인사를 가시고 있어서 안구 표면 질환에 많이 이용되있다. 하지만 각막이나 결막에 봉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봉합사에 의한 합병증이 있었다. 최근 교차 결합을 이용한 CL 타입의 양막 렌즈가 개발되어 [[수포 각막병증]], [[각막 화상]], [[신경영양 각막염]], 만성 각막상피 결손 등에서 각막 상피 재생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