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74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잔글 (→‎역사)
잔글 (→‎효과)
 
13번째 줄: 13번째 줄:
* 각막 표면의 수분 유지 : 심한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TCL은 인공 누액와 함께 각막 표면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막 렌즈는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렌즈 밑의 수분을 유지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각막 표면의 수분 유지 : 심한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TCL은 인공 누액와 함께 각막 표면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막 렌즈는 건조증이 있는 환자에서 렌즈 밑의 수분을 유지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효과 ==
== 선택 ==
각막 상피 치유를 촉진하고 바닥막에의 상피 부착을 증진시켜 [[반복 각막 진무름]], [[실모양 각막염]],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외상성 상피 손상, 각막 내피 부전에 의한 각막 상피 장애 등의 치료에서 다른 치료법들이 실패했을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TCL을 선택할 때는 다양한 각막 표면 질환에 대한 이해와 함께 반대로 TCL이 각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두 알아야 한다. 렌즈는 다음 세 가지 기전을 통해 각막 생리에 영향을 준다.
노출 각막염, 단순 포진과 대상 포진에 의한 영양 궤양 각막, 화학적 손상, 주변 각막 궤양 등의 만성 각막 상피 결손 기질 궤양, 각막 천공 및 데스메막류, 거짓 가장자리 각결막염, 눈알의 흉터, 건성안에서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 다앙한 정도의 저산소증을 일으킨다.
그 외 눈꺼풀 이상이 있는 경우 안구 표면을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일시적인 물리적 장벽의 역할도 하고 국소적으로 투여한 약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눈알 화상 시 결막 붙음증 예방 목적으로, 드물게는 가림 치료시 약시안에 치료용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각막 표면의 눈물막 분배 정도를 바뀌게 한다.
* 각막 상피의 저강도의 기계적 외상을 입힌다.
 
가장 이상적인 렌즈는 이러한 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각막 표면 질환의 치유를 돕는 것이다.  시력이 없는 눈과 같이 편안함이 가장 중요한 경우가 아닌 한, 각막으로의 산소 전달이 렌즈를 통해 최대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각막 상처 치유를 목적으로 CL을 사용하는 경우, 높은 Dk (oxygen permeability, 산소투과율) 가 매우 중요하다. TCL이 필요한 눈은 일반적인 눈과 생리적으로 다를 수 있다. 특히, 산소 수송에 관여하는 조직에 이상이 생긴 각막내피 이상증인 경우에도 TCL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산소투과율이 중요하다.
 
눈물막도 중요한데, TCL이 필요한 눈은 일반적으로 각막 표면이 불규칙하여 눈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눈물 생성도 제한되어 있다. 건조한 눈에서는 렌즈 재질의 습윤각 (wetting angle) 과 렌즈를 감싸는 눈물분포가 중요하다. 심한 안구 표면 질환이 있거나 노출이 심한 눈은 각막을 습윤하기 위한 렌즈 뒤편의 눈물 저장고 유지가 중요하다. 또한 TCL은 렌즈 움직임 이 일반 SCL보다 작아야 이물감이 적고, 치유 중인 각막상피 에 대한 자극도 적으며, 과도할 경우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보통 렌즈 장착 시 렌즈 직경 기본 곡율이 중요하지만, TCL의 경우에는 적당한 시상 깊이가 더욱 중요하다. 대부분 TCL을 지속적으로 착용하게 되기 때문에 생리적인 환경 고려가 특히 중요한데, TCL이 너무 가파르게 처방되면 렌즈가 공막을 누르고 결막 혈관이 창백해지며 장시간 착용 시 렌즈 유착 증후군 (tight lens syndrome) 을 유발할 수 있다. 또 고려해야 할 사항은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과 TCL이 작옹하는 기전이다. 예를 들어 치료 목적이 각막 상피의 치유와 보호라면, 저산소증의 합병증은 피하면서 적절한 장착이 되어야 한다<ref>Foulks GN et al. TCL : the role of high-Dk lenses. ''Ophthalmol Clin North Am''. 2003 Sep;16(3):455-61. [https://pubmed.ncbi.nlm.nih.gov/14564766/ 연결]</ref>. 요약하면 치료 목적으로 렌즈를 사용할 경우 각 질환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렌즈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 종류 ==
== 종류 ==
=== 일회용 하이드로겔 ===
=== 일회용 하이드로겔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