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08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잔글 (→‎역학)
잔글 (→‎역사)
1번째 줄: 1번째 줄:
'''컬러 콘택트렌즈 (colored contact lens)'''{{콘택트렌즈}}
'''컬러 콘택트렌즈 (colored contact lens)'''{{콘택트렌즈}}
== 역사 ==
== 역사 ==
SCL에 색깔을 입힌 미용 렌즈는 1980년대부터 상용화되어 처음에는 옅은 푸른 빛을 띠는 렌즈로 제작되어 눈에 잘 보이도록 제작되었다가 차차 색이 짙어짐에 따라 미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1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는 정상적인 눈과 손상된 눈에서 홍채의 색깔을 변화시키고 강조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미용적인 목적이 가장 크다. 또한 색소 염료 적용은 아래의 방식으로 구분된다.
=== 반투명 ===
특정 파장의 빛만 통과시켜 홍채의 색을 강조한다.
* Dye dispersion : 주로 HCL에서 색을 입힐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렌즈 주 성분인 단량체 (monomer) 에 색소를 첨가하는 방법
* Vat dye tinting : 완전히 제조된 SCL을 친수성 염료에 넣어 렌즈 표면을 균질하게 염색하는 기법
* Chemical bond tinting: 렌즈를 염색 시 약에 효소와 함께 넣어 염료와 렌즈 중합체 사이에 화학적 결합을 만들어 염색하는 기법
* Printing : 흥채 무늬를 렌즈 표면에 찍어내는 기법
=== 불투명 ===
상당한 양의 빛을 차단하여 색을 전체적으로 다르게 보이게 한다.
* Dot matrix printing : 불투명한 점 모양을 SCL의 앞면에 프린트하고 화학 처 리를 통해 고정하는 방법으로 죄종 미용 효과는 dot matrix pattern 과 비치는 홍채 색깔이 합쳐진 결과
* Laminate constructions : 콘택트렌즈 안에 불투명 홍채 패턴을 판 모양으로 넣는 방식으로,칠해진 패턴이 둘러 싸여 렌즈 안에서 보호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렌즈 두께가 증가하여 Dk/t나 물리적 성질이 변할 수 있는 단점이 있음. 이 방식의 변형으로 '샌드위치 공법 (sandwich method)' 은 렌즈 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염료를 넣고 접합시킨 형태
* Opaque backing : 렌즈의 기질을 반투명 염료를 사용하여 색을 입히고 홍채 패턴을 렌즈의 뒷면에 불투명 염료를 사용하여 적용하는 방법


== 역학 ==
== 역학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