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비수술적 치료) |
잔글 (→치료)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실모양체는 0.5mm에서 수 mm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각막에 단단히 붙어있으며, 아래쪽으로 작은 회색의 상피하 혼탁을 동반하기도 한다. 간혹 힘껏 눈을 깜빡일 때 실모양체가 떨어지기도 하지만, 이렇게 생겨난 상피 결손은 실모양체 형성을 더욱 촉진한다<br />실모양체는 rose bengal에 진하게 염색되나 형광 염색에서는 약간 덜 밝게 염색된다. 바닥의 상피 결손은 형광염색에서 매우 잘 염색되며, 돌출되어 있는 실모양체는 어두운 염색 양상을 보인다. | 실모양체는 0.5mm에서 수 mm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각막에 단단히 붙어있으며, 아래쪽으로 작은 회색의 상피하 혼탁을 동반하기도 한다. 간혹 힘껏 눈을 깜빡일 때 실모양체가 떨어지기도 하지만, 이렇게 생겨난 상피 결손은 실모양체 형성을 더욱 촉진한다<br />실모양체는 rose bengal에 진하게 염색되나 형광 염색에서는 약간 덜 밝게 염색된다. 바닥의 상피 결손은 형광염색에서 매우 잘 염색되며, 돌출되어 있는 실모양체는 어두운 염색 양상을 보인다. | ||
== 치료 == | == 치료 == | ||
치료하기 매우 어려우나 치료의 첫 단계는 관련된 위험인자 또는 질환을 인지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치료 결정에 관한 무작위 대조 연구는 없다. 급성 질환 혹은 외상과 관련해 발생한 실모양체는 만성 질환에서 발생한 것보다 치료에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 치료하기 매우 어려우나 치료의 첫 단계는 관련된 위험인자 또는 질환을 인지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치료 결정에 관한 무작위 대조 연구는 없다. 급성 질환 혹은 외상과 관련해 발생한 실모양체는 만성 질환에서 발생한 것보다 치료에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ref>Hamilton W et al. Filamentary keratitis. ''AJO''. 1982 Apr;93(4):466-9. [https://pubmed.ncbi.nlm.nih.gov/7072810/ 연결]</ref>. 아주 드물게 자연적으로 치유되기도 하나,일반적으로 치료 과정이 상당히 지루하고 환자나 의사 모두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 ||
=== 관련 질환의 치료 === | === 관련 질환의 치료 === | ||
건성안은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며 질환의 정도에 따라 인공눈물 (점안액, 젤, 연고), 사이클로스포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혈청 등 점안, 눈물점 폐쇄<ref>Balaram M et al. Efficacy and tolerability outcomes after punctal occlusion w silicone plugs in DES. ''AJO''. 2001 Jan;131(1):30-6. [https://pubmed.ncbi.nlm.nih.gov/11162976/ 연결]</ref>, 눈꺼풀 치료, 식단 변경, 테트라사이클린이나 영양제 복용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해볼 수 있다. 건성안을 악화시킬 수 있는 항콜린제 혹은 항히스타민제는 가능하면 중지하거나 대체제로 전환한다. [[상윤부 각결막염]], [[단순포진 각막염]], [[신경영양 각막염]] 등 관련된 눈질환을 잘 진단하고 치료해야 하며 관련된 전신 질환 역시 다학제 접근을 통해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 | 건성안은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하며 질환의 정도에 따라 인공눈물 (점안액, 젤, 연고), 사이클로스포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혈청 등 점안, 눈물점 폐쇄<ref>Balaram M et al. Efficacy and tolerability outcomes after punctal occlusion w silicone plugs in DES. ''AJO''. 2001 Jan;131(1):30-6. [https://pubmed.ncbi.nlm.nih.gov/11162976/ 연결]</ref>, 눈꺼풀 치료, 식단 변경, 테트라사이클린이나 영양제 복용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해볼 수 있다. 건성안을 악화시킬 수 있는 항콜린제 혹은 항히스타민제는 가능하면 중지하거나 대체제로 전환한다. [[상윤부 각결막염]], [[단순포진 각막염]], [[신경영양 각막염]] 등 관련된 눈질환을 잘 진단하고 치료해야 하며 관련된 전신 질환 역시 다학제 접근을 통해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