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모양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93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6일 (수)
잔글
잔글 (→‎치료)
30번째 줄: 30번째 줄:
=== 스테로이드 ===
===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 점안액도 심한 건성안과 실모양체가 발생한 환자에서 안구표면 윤활을 돕는 효과적인 보조제가 될 수 있다. Marsh 등<ref>Marsh P et al. Topical nonpreserved methylpd therapy for KCS in Sjögren syndrome. ''Ophthalmology''. 1999 Apr;106(4):811-6. [https://pubmed.ncbi.nlm.nih.gov/10201607/ 연결]</ref>은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일차 혹은 이차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무방부제 1% methylprednisolone 안약을 사용해 자극 증상이 완화되고 실모양체가 소실됨을 보고하였다. 증상이 악화된 환자에서는 단기간 동안 고역가 약제를 'pulse' 용법으로 사용하고 장기 점안이 필요한 경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역가가 낮은 약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실모양 각막염의 발생에 안구 표면의 염증이 미치는 영향은 확실히 검증되지 않았으나 스테로이드는 염증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막는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 점안액도 심한 건성안과 실모양체가 발생한 환자에서 안구표면 윤활을 돕는 효과적인 보조제가 될 수 있다. Marsh 등<ref>Marsh P et al. Topical nonpreserved methylpd therapy for KCS in Sjögren syndrome. ''Ophthalmology''. 1999 Apr;106(4):811-6. [https://pubmed.ncbi.nlm.nih.gov/10201607/ 연결]</ref>은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일차 혹은 이차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무방부제 1% methylprednisolone 안약을 사용해 자극 증상이 완화되고 실모양체가 소실됨을 보고하였다. 증상이 악화된 환자에서는 단기간 동안 고역가 약제를 'pulse' 용법으로 사용하고 장기 점안이 필요한 경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역가가 낮은 약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실모양 각막염의 발생에 안구 표면의 염증이 미치는 영향은 확실히 검증되지 않았으나 스테로이드는 염증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막는 역할을 한다.
=== 자가 혈청 안약 ===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FK에 효과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다<ref>Read SP et al. Treatment of Refractory FK w AS Tears. ''Eye Contact Lens''. 2017 Sep;43(5):e16-e18. [https://pubmed.ncbi.nlm.nih.gov/26657665/ 연결]</ref>. 자가 혈청은 표면 윤활은 물론 성장인자와 영양분을 제공하고 각막 신경을 회복시키는 등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과정의 여러 부위에 작용할 수 있다.
=== 기타 ===
기타 치료제로 점믹보호제 용도로 사용되는 rebamipide 안약,eledoisin<ref>Jaeger W et al. Eledoisin - a successful therapeutic concept for FK.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85;104 (Pt 4):496. [https://pubmed.ncbi.nlm.nih.gov/3862278/ 연결]</ref>과 같은 약리적 활성 펩타이드,베타선 조사,헤파린이나 dextran의 국소 투여,점액 용해제의 전신 투여 등이 시도되고 있다.80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