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2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7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반복 각막 진무름 문서를 반복 각막 짓무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반복 각막 짓무름 (recurrent corneal erosion; RCE)'''{{각막}}<ref>Miller DD et al. Recurrent corneal erosion: a comprehensive review. ''Clin Ophthalmol''. 2019;13:325-335.</ref> 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으로,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각막 상피의 벗겨짐과 재상피화를 반복한다. 질환 양상은 환자에 따라 수개월에서 수년에 한 번씩 매우 경미한 증상이 생기는 것부터 수시간에서 수일 동안 지속되는 통증이 매우 자주 발생하거나 심지어 일상 생활이 불가능한 경우까지 매우 다양하다.
'''반복 각막 짓무름 (recurrent corneal erosion; RCE)'''{{각막}}<ref>Miller DD et al. Recurrent corneal erosion: a comprehensive review. ''Clin Ophthalmol''. 2019;13:325-335.</ref> 은 1872년 Hansen이 'intermittent neuralgic vascular keratitis' 라고 처음으로 기술하였다<ref>Hansen E. Om den intermitterende keratitis visicularis neuralgica af traumatisk opindelse. ''Hospitals Tidend'' 1872;51:201-3.</ref>. 각막 상피-기질 복합체의 부전으로 발생하는 반복되는 상피의 탈락을 특징으로 하며<ref name=r4>Omari AA et al. RCE in Corneal Dystrophies : a Review of the Pathogenes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rapy. ''Klin Monbl Augenheilkd''. 2018 Jun;235(6):689-696. English. [https://pubmed.ncbi.nlm.nih.gov/29895082/ 연결]</ref>, 짓무름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이전의 각막 손상, 특정 [[각막 이상증]], 혹은 전신 질환과 연관되어 발생하기도 한다<ref>Das S et al.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Surv Ophthalmol''. 2008 Jan-Feb;53(1):3-15. [https://pubmed.ncbi.nlm.nih.gov/18191654/ 연결]</ref>. 벗겨진 상피는 다시 재상피화되지만 탈락을 반복하며,보우만층을 보호하는 상피 없이 노출된 각막 기질에 반복적 손상이 발생해 혼탁이 진행되기도 한다<ref name=r4 />.
== 정상 각막 부착 ==
== 정상 각막 부착 ==
정상 각막 상피세포의 부착은 상피 바닥세포, 바닥막, 보우만층, 그리고 각막 기질로 이루어진 부착 복합체(attachment complex)라고 알려진 구조에 의존한다. 이러한 부착 복합체는 전자 현미경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반결합체(hemidesmosome), 바닥판(basal lamina), 치밀판(lamina densa), 투명판(lamina lucida), 고정원섬유(anchoring fibril), 라미닌(laminin), 섬유결합소(fibronectin), 그리고 아교질 4형과 7형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밝혀져 있다.
정상 각막 상피세포의 부착은 상피 바닥세포, 바닥막, 보우만층, 그리고 각막 기질로 이루어진 부착 복합체(attachment complex)라고 알려진 구조에 의존한다. 이러한 부착 복합체는 전자 현미경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반결합체(hemidesmosome), 바닥판(basal lamina), 치밀판(lamina densa), 투명판(lamina lucida), 고정원섬유(anchoring fibril), 라미닌(laminin), 섬유결합소(fibronectin), 그리고 아교질 4형과 7형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밝혀져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