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증상) |
잔글 (→임상 양상)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임상 양상 == | == 임상 양상 == | ||
환자는 보통 경미한 이물감 혹은 자극 증상에서부터 매우 심한 예리한 작열감에 이르는 통증을 호소한다. 많은 경우에 아침 기상 시 혹은 수면 중에 증상이 발생하며 '찢어지는' 혹은 '눈물 나는' 감각을 먼저 느낀다<ref>Rubinfeld RS. Corneal micropuncture in recurrent erosion syndromes. In: Krachmer JH et al. Cornea: fundamentals, diagnosis, and management. 3rd ed: Mosby; 2011, p.1081-91</ref>. 증상은 [[삼차신경]]의 각막 상피밑 혹은 심부 기질 가지를 자극하는 각막 기질 손상에서 기인한다. 눈물 흘림, 충혈, 눈부심, 흐려 보임, 눈꺼풀 부종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짓무름은 단편적으로 반복해 발생하며 각 에피소드 사이에는 증상이 전혀 없거나 아주 경미한 이물감 혹은 어렴풋이 이환되었던 눈을 기억하는 정도의 휴지기가 있다. | 환자는 보통 경미한 이물감 혹은 자극 증상에서부터 매우 심한 예리한 작열감에 이르는 통증을 호소한다. 많은 경우에 아침 기상 시 혹은 수면 중에 증상이 발생하며 '찢어지는' 혹은 '눈물 나는' 감각을 먼저 느낀다<ref name=r13>Rubinfeld RS. Corneal micropuncture in recurrent erosion syndromes. In: Krachmer JH et al. Cornea: fundamentals, diagnosis, and management. 3rd ed: Mosby; 2011, p.1081-91</ref>. 증상은 [[삼차신경]]의 각막 상피밑 혹은 심부 기질 가지를 자극하는 각막 기질 손상에서 기인한다. 눈물 흘림, 충혈, 눈부심, 흐려 보임, 눈꺼풀 부종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짓무름은 단편적으로 반복해 발생하며 각 에피소드 사이에는 증상이 전혀 없거나 아주 경미한 이물감 혹은 어렴풋이 이환되었던 눈을 기억하는 정도의 휴지기가 있다<ref name=r13 />.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