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특발성 황반 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idiopathic MH) == 병태 생리 == * 중심와의 낭포 : Kuhnt는 망막 혈관의 노화에 따라 망막의 수포성 변성이...)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1A 기 : 중심부 황색 반점, 중심와 함몰의 소실을 보이나, 유리체 중심와 박리는 동반하지 않는다. 초기의 중심 소와의 장액성 박리로 인해 황색 반점으로 나타난다. OCT에서는 망막내층의 중심와 낭포 소견을 보인다. 후유리체의 견인력으로 중심와 오목이 소실되고, 일부에서는 원뿔 세포 외절 끝 또는 광수용 세포 내외절 경계부가 끌려 올려가거나 결손되기도 한다. | * 1A 기 : 중심부 황색 반점, 중심와 함몰의 소실을 보이나, 유리체 중심와 박리는 동반하지 않는다. 초기의 중심 소와의 장액성 박리로 인해 황색 반점으로 나타난다. OCT에서는 망막내층의 중심와 낭포 소견을 보인다. 후유리체의 견인력으로 중심와 오목이 소실되고, 일부에서는 원뿔 세포 외절 끝 또는 광수용 세포 내외절 경계부가 끌려 올려가거나 결손되기도 한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최근 [[ | 최근 [[오크리플라스민]]의 유리체강내 주사가 시도되고 있다.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주된 치료법은 [[유리체 절제술]]이다. 원공에 가해지는 유리체의 견인력을 해소하여 원공의 폐쇄를 유도한다. 3기 및 4기 황반 원공의 황반부는 이미 [[후유리체 박리]]가 일어난 상태이므로 가스를 채울 공간을 확보하고 막제거술을 시행하기 위해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한다. 반면 1기 황반 원공은 저절로 호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술적 치료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주된 치료법은 [[유리체 절제술]]이다. 원공에 가해지는 유리체의 견인력을 해소하여 원공의 폐쇄를 유도한다. 3기 및 4기 황반 원공의 황반부는 이미 [[후유리체 박리]]가 일어난 상태이므로 가스를 채울 공간을 확보하고 막제거술을 시행하기 위해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한다. 반면 1기 황반 원공은 저절로 호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술적 치료에 대한 논란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