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200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7일 (목)
잔글
잔글 (→‎병인)
4번째 줄: 4번째 줄:


== 병인 ==
== 병인 ==
각막 상피와 바닥막 사이, 바닥막과 실질 사이의 바닥막 복합체 (basement membrane complex) 의 약화로 반복적으로 각막의 층이 분리된다.<ref>Kirkwood BJ. RCE :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ptions. ''Insight''. 2007 Oct-Dec;32(4):14-7; [https://pubmed.ncbi.nlm.nih.gov/18306941/ 연결]</ref><ref>Ramamurthi S et al. Pathogenesis,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RCE. ''Eye (Lond)''. 2006 Jun;20(6):635-44. [https://pubmed.ncbi.nlm.nih.gov/16021185/ 연결]</ref>. 각막 상피 바닥막의 결손, 유전적 이상으로 비정상적인 바닥막의 축적, 세포 기질 간의 반결합체 (hemidesmosome) 의 약화<ref>Tripathi RC et al. Ultrastructural study of non-traumatic RCE. ''BJO''. 1972 Feb;56(2):73-85. [https://pubmed.ncbi.nlm.nih.gov/4110772/ 연결]</ref>, 고정 미세 섬유 (anchoring fibril) 의 결핍, [[MMP]]에 의한 각막 상피 결합체의 분해<ref>Sakimoto T et al. MMP in corneal diseases : degradation and processing. ''Cornea''. 2012 Nov;31 Suppl 1:S50-6. [https://pubmed.ncbi.nlm.nih.gov/23038036/ 연결]</ref>, 제 7형 콜라겐의 결손<ref>Chen YT et al. The cleavage plane of corneal epithelial adhesion complex in traumatic RCE. ''Mol Vis''. 2006 Mar 23;12:196-204. [https://pubmed.ncbi.nlm.nih.gov/16604052/ 연결]</ref> 등이 그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착 복합체 (attachment complex) 의 이상은 상피의 탈락을 야기한다. 표면 각막 외상은 바닥막의 손상을 야기해 정상적인 유착 복합체의 재형성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ref>Khodadoust AA et al. Adhesion of regenerating corneal epithelium. The role of basement membrane. ''AJO''. 1968 Mar;65(3):339-48. [https://pubmed.ncbi.nlm.nih.gov/5640539/ 연결]</ref>. 기능을 못하는 유착 복합체는 주기적으로 상피의 융기와 상피내 혹은 아래에 조직 파편 (debris) 의 침착을 야기한다.1Q [[상피 바닥막 이상증]]은  비정상적인 바닥막과 결합조직 물질을 생성해 상피의 유착을 방해하기도 한다.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줄어
들기  때문에 눈물은 저장성으로 변하고 삼투압 차로 인
한 물의 이동으로 각막상피부종이 생겨  결과적으로 각
막상피의 부착력이 약해진다.5  야간 수면 중에는 눈물
층이 얇아져 눈꺼풀이 각막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침
기상 시 발생하는 눈꺼풀의 움직임이나 급속눈운동수면
rapid eye movement; REM sleep은  각막상피세포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으며,11    이른 아침 급속눈운동수면 중 일어
나는 홱보기sneezes는 각막이상증이나 미세외상이 있는
경우 각막상피손상을 악화시킨다고 생각된다.12  각막노
줄 혹은 야간수면 중 눈이 떠지는 경우(nocturnal lagoph­
thalmos)    역시 반복각막짓무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3
 
기 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etalloproteinase; MMP 같은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은 각막상피 유착복
합체를 분해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다. MMP-2
와 MMP-9으로 구성된 젤라틴분해효소ge/此mzse는 바
닥막의 주요 구성요소인 4형 및 7형 아교질과 라미닌을
분해하며,외상성 각막찰과상과 반복각막짓무름을 경
험한 환자의 이환된 눈과 반대안에서 채취한 눈물 중에
포함된 MMP-2와 MMP-9의 농도가 대조안에 비해 높
아져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14 MMP의 증가는 바닥막을
붕괴하며 상피바닥막의 부착을 방해할 수 있다. Hope
등15은 치료가 어려운 반복각막짓무름 환자 전원에게 마
이봄샘기능장애가 있으며 마이봄샘의 위축과 소실,눈
물막파괴시간 감소,눈물층내 조직파편들을 관찰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 역학 ==
== 역학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