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6월 27일 (목)
잔글
잔글 (→‎진단)
잔글 (→‎진단)
32번째 줄: 32번째 줄:


== 진단 ==
== 진단 ==
질병이 발생한 눈의 외상 병력, 잠에서 깼을 때 발생하는 통증, 특징적인 상피 병변이 있을 경우 비교적 쉽게 RCE로 진단할 수 있다. 흔히 상피 결손 혹은 느슨한 상피가 관찰되나 융기된 불규칙한 상피, 미세 낭포 (microcysts), 상피밑 혼탁 혹은 각막 기질침윤/혼탁이 관찰되기도 한다<ref>Reidy JJ et al. Recurrent erosions of the cornea : epidemiology and treatment. ''Cornea''. 2000 Nov;19(6):767-71. [https://pubmed.ncbi.nlm.nih.gov/11095047/ 연결]</ref>. 활성 혹은 치유된 각막 상피는 회색빛을 띤 울퉁불퉁하고 부종을 동반한 손상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4 특징적 소견이 확연하지 않으면 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더욱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임상의사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권고하기 위해 앞기질 미세 천자 (ASP) 가 필요한 바닥막의 소실(외상성 병인)과, 표층 각막 절제술/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이 필요한 바다막과 상피 사이의 이상 물질 (이상증과 변성) 이 쌓이는 경우의 두 부류로 구분해 진단해야 한다. 또한 각막 찰과상과 같은 각막 손상, 경미한 증상의 반복, 각막 이상증, 최근 시행된 눈 시술, 물집 표피 박리증 (epidermolysis bullosa) 같은 질환 등에 대해 철저한 병력 청취를 해야 한다.
질병이 발생한 눈의 외상 병력, 잠에서 깼을 때 발생하는 통증, 특징적인 상피 병변이 있을 경우 비교적 쉽게 RCE로 진단할 수 있다. 흔히 상피 결손 혹은 느슨한 상피가 관찰되나 융기된 불규칙한 상피, 미세 낭포 (microcysts), 상피밑 혼탁 혹은 각막 기질침윤/혼탁이 관찰되기도 한다<ref>Reidy JJ et al. Recurrent erosions of the cornea : epidemiology and treatment. ''Cornea''. 2000 Nov;19(6):767-71. [https://pubmed.ncbi.nlm.nih.gov/11095047/ 연결]</ref>. 활성 혹은 치유된 각막 상피는 회색빛을 띤 울퉁불퉁하고 부종을 동반한 손상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4 특징적 소견이 확연하지 않으면 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더욱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임상의사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권고하기 위해 앞기질 미세 천자 (ASP) 가 필요한 바닥막의 소실 (외상성 병인) 과, 표층 각막 절제술/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이 필요한 바다막과 상피 사이의 이상 물질 (이상증과 변성) 이 쌓이는 경우의 두 부류로 구분해 진단해야 한다. 또한 각막 찰과상과 같은 각막 손상, 경미한 증상의 반복, 각막 이상증, 최근 시행된 눈 시술, 물집 표피 박리증 (epidermolysis bullosa) 같은 질환 등에 대해 철저한 병력 청취를 해야 한다.


두 눈에 대한 면밀한 세극등 검사가 필요하며 불빛을 넓게 비스듬히 비추거나 역반사 조명을 사용하면 미세한 각막상피 변화를 관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부분의 급성 RCE는 원인과 관계 없이 각막 하반부에 발생하며<ref>Hykin PG et al. The natural history and management of RCE : a prospective randomised trial. ''Eye (Lond)''. 1994;8 (Pt 1):35-40. [https://pubmed.ncbi.nlm.nih.gov/8013716/ 연결]</ref>, 허드슨-스탤리선 (Hudson-Stahli line) 과 인접해 재발하는 경향이 있다<ref>Williams R et al.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recurrent erosion. ''BJO''. 1985 Jun;69(6):435-7. [https://pubmed.ncbi.nlm.nih.gov/3873960/ 연결]</ref>. 형광 염색 하에서는 [[상피 바닥막 이상증|EBMD]]이나 이전 짓무름으로 인해 발생한 불규칙한 상피를 시사하는 음성 염색을 관찰할 수도 있다. 또한 음성염색은 느슨한 상피를 도드라지게 할 수 있다. 상피의 미세낭포는 외상이나 [[상피 바닥막 이상증|EBMD]]과 연관된 RCE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으나 [[상피 바닥막 이상증|EBMD]]이 있는 경우 지문 모양, 그물 모양, 낭포 등 추가 소견을 흔히 동반한다<ref>Brown N et al. Recurrent erosion of the cornea. ''BJO''. 1976 Feb;60(2):84-96. [https://pubmed.ncbi.nlm.nih.gov/1083744/ 연결]</ref>. 눈꺼풀 위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부착이 약한 상피로 인해 생기는 주름을 확인할 수도 있고, 셀룰로오스 스펀지 끝으로 각막을 부드럽게 건드렸을 때 작은 압력으로도 미세한 상피 주름이 생기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느슨한 각막 상피를 확인할 수 있다<ref>Cavanaugh TB et al. PTK for recurrent erosion syndrome in anterior basement membrane dystrophy. ''Ophthalmology''. 1999 May;106(5):971-6. [https://pubmed.ncbi.nlm.nih.gov/10328398/ 연결]</ref>. 재상피화 직후에는 이환된 부위 간질의 갈색 과립 (browny edema) 을 관찰할 수도 있다. 이환된 눈에 특별한 소견이 보이지 않는 경우 반대눈에서 [[각막 이상증]]에 대한 소견을 관찰할 수도 있다. 치료가 어려운 RCE 환자에서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동반된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소견이 있는지 반드시 평가해야 한다.15 미세낭포부종, 물집, 잘쯔만 결절 (Salzmann nodule), 기타 각막 침착물 등은 이차성 RCE를 시사하는 소견들이다.
두 눈에 대한 면밀한 세극등 검사가 필요하며 불빛을 넓게 비스듬히 비추거나 역반사 조명을 사용하면 미세한 각막상피 변화를 관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부분의 급성 RCE는 원인과 관계 없이 각막 하반부에 발생하며<ref>Hykin PG et al. The natural history and management of RCE : a prospective randomised trial. ''Eye (Lond)''. 1994;8 (Pt 1):35-40. [https://pubmed.ncbi.nlm.nih.gov/8013716/ 연결]</ref>, 허드슨-스탤리선 (Hudson-Stahli line) 과 인접해 재발하는 경향이 있다<ref>Williams R et al.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recurrent erosion. ''BJO''. 1985 Jun;69(6):435-7. [https://pubmed.ncbi.nlm.nih.gov/3873960/ 연결]</ref>. 형광 염색 하에서는 [[상피 바닥막 이상증|EBMD]]이나 이전 짓무름으로 인해 발생한 불규칙한 상피를 시사하는 음성 염색을 관찰할 수도 있다. 또한 음성염색은 느슨한 상피를 도드라지게 할 수 있다. 상피의 미세낭포는 외상이나 [[상피 바닥막 이상증|EBMD]]과 연관된 RCE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으나 [[상피 바닥막 이상증|EBMD]]이 있는 경우 지문 모양, 그물 모양, 낭포 등 추가 소견을 흔히 동반한다<ref>Brown N et al. Recurrent erosion of the cornea. ''BJO''. 1976 Feb;60(2):84-96. [https://pubmed.ncbi.nlm.nih.gov/1083744/ 연결]</ref>. 눈꺼풀 위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부착이 약한 상피로 인해 생기는 주름을 확인할 수도 있고, 셀룰로오스 스펀지 끝으로 각막을 부드럽게 건드렸을 때 작은 압력으로도 미세한 상피 주름이 생기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느슨한 각막 상피를 확인할 수 있다<ref>Cavanaugh TB et al. PTK for recurrent erosion syndrome in anterior basement membrane dystrophy. ''Ophthalmology''. 1999 May;106(5):971-6. [https://pubmed.ncbi.nlm.nih.gov/10328398/ 연결]</ref>. 재상피화 직후에는 이환된 부위 간질의 갈색 과립 (browny edema) 을 관찰할 수도 있다. 이환된 눈에 특별한 소견이 보이지 않는 경우 반대눈에서 [[각막 이상증]]에 대한 소견을 관찰할 수도 있다. 치료가 어려운 RCE 환자에서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동반된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소견이 있는지 반드시 평가해야 한다.15 미세낭포부종, 물집, 잘쯔만 결절 (Salzmann nodule), 기타 각막 침착물 등은 이차성 RCE를 시사하는 소견들이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