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AS-OCT) === |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AS-OCT) === |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AS-OCT]] 에서는 RCE의 급성기에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 상피 부종, 상피의 불규칙한 파열 등의 소견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와 함께 상피 바닥막의 소실, 상피내 바닥막, 상피내 봉입체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ref>Diez-Feijóo E et al. OCT findings in RCE syndrome. Cornea. 2015 Mar;34(3):290-5. [https://pubmed.ncbi.nlm.nih.gov/25532997/ 연결]</ref>. AS-OCT의 각막 상피 지도에서는 상피 부착의 느슨함을 의미하는 두터워진 상피 부위를 따라 상피 두께가 의미 있게 변한 소견을 보일수 있다<ref>Oikonomakis K et al. Epithelial map-guided anterior stromal micr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RCE syndrome. ''Int Ophthalmol''. 2019 Apr;39(4):943-948. [https://pubmed.ncbi.nlm.nih.gov/29557084/ 연결]</ref>. |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AS-OCT]] 에서는 RCE의 급성기에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 상피 부종, 상피의 불규칙한 파열 등의 소견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앞기질의 반사도 증가와 함께 상피 바닥막의 소실, 상피내 바닥막, 상피내 봉입체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ref>Diez-Feijóo E et al. OCT findings in RCE syndrome. Cornea. 2015 Mar;34(3):290-5. [https://pubmed.ncbi.nlm.nih.gov/25532997/ 연결]</ref>. AS-OCT의 각막 상피 지도에서는 상피 부착의 느슨함을 의미하는 두터워진 상피 부위를 따라 상피 두께가 의미 있게 변한 소견을 보일수 있다<ref>Oikonomakis K et al. Epithelial map-guided anterior stromal micr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RCE syndrome. ''Int Ophthalmol''. 2019 Apr;39(4):943-948. [https://pubmed.ncbi.nlm.nih.gov/29557084/ 연결]</ref>. | ||
외상과 관련한 반복각막짓무름에서 보이는 동일초점 | |||
현미경검사c아"bcflZ microscopy 소견으로느 가마사互]세 ᄑ | |||
의 변형,앞기질 내활성화된 각막;질:;; | |||
반한 중간기질 내 각막기질세포 등이 있다.25 Rosenbe | |||
등은 반복각막짓무름 혹은 상피바닥막이상증 환자에서 | |||
보이는 동일초점현미경 소견에 대해 연구했고,두 질화 | |||
모두 상피바닥막세포 내 침착물,상피바닥막세포 화 | |||
(돔 모양 배열,선상,혹은 능선),바닥밑 미세주름과 서 소 | |||
상된 바닥밑신경,혹은 앞각막기질의 형태학적 볘성화된 앞각막기질세포)를 보였다 26 짧아지거나 이상하게 생긴 신경섬유다발, 긴 신경섬유 다발의 수적 감소,희미하게 보이는 긴 신경섬유 다발,랑게르한스세포 증가는 바닥밑 신경층의 병적 변화를 시사하는 소견이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