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기타) |
잔글 (→안대 콘택트렌즈 (BCL))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안대 콘택트렌즈 (BCL) === | === 안대 콘택트렌즈 (BCL) === | ||
BCL은 실모양 각막염 환자에서 증상을 빠르게 해소하는 데 상당히 효과적이다. BCL은 눈꺼풀의 마찰력으로부터 각막을 보호하고 상피 바닥막 결손 부위를 덮어 추가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피 치유 과정에 도움이 된다. Bloomfield 등<ref>Bloomfield SE et al. Treatment of FK w the SCL. ''AJO''. 1973 Dec;76(6):978-80. [https://pubmed.ncbi.nlm.nih.gov/4759857/ 연결]</ref>은 BCL를 사용한 20명의 환자에서 1주일 후 실모양체가 100% 소실되고 재발이 없음을 보고하였다. 인공눈물 점안액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고 산소 투과력이 높은 CL을 선택해야 하며, 장기간 CL 착용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슷한 목적으로 Succinylated collagen bandage lenses (SCBL)<ref>Hadassah J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succinylated collagen bandage lenses for ophthalmic applications. ''Ophthalmic Res''. 2008;40(5):257-66. [https://pubmed.ncbi.nlm.nih.gov/18437036/ 연결]</ref>, 양막 이식편, 형태 유지물 (conformer) 에 부착된 양막 등을 이용한 치료도 시도되고 있다. | BCL은 실모양 각막염 환자에서 증상을 빠르게 해소하는 데 상당히 효과적이다. BCL은 눈꺼풀의 마찰력으로부터 각막을 보호하고 상피 바닥막 결손 부위를 덮어 추가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피 치유 과정에 도움이 된다. Bloomfield 등<ref>Bloomfield SE et al. Treatment of FK w the SCL. ''AJO''. 1973 Dec;76(6):978-80. [https://pubmed.ncbi.nlm.nih.gov/4759857/ 연결]</ref>은 BCL를 사용한 20명의 환자에서 1주일 후 실모양체가 100% 소실되고 재발이 없음을 보고하였다. 인공눈물 점안액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고 산소 투과력이 높은 CL을 선택해야 하며, 장기간 CL 착용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슷한 목적으로 Succinylated collagen bandage lenses (SCBL)<ref>Hadassah J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succinylated collagen bandage lenses for ophthalmic applications. ''Ophthalmic Res''. 2008;40(5):257-66. [https://pubmed.ncbi.nlm.nih.gov/18437036/ 연결]</ref>, 양막 이식편, 형태 유지물 (conformer) 에 부착된 양막 등을 이용한 치료도 시도되고 있다. | ||
=== 공막 렌즈 ===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