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안대 콘택트렌즈 (BCL)) |
잔글 (→공막 렌즈)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BCL은 실모양 각막염 환자에서 증상을 빠르게 해소하는 데 상당히 효과적이다. BCL은 눈꺼풀의 마찰력으로부터 각막을 보호하고 상피 바닥막 결손 부위를 덮어 추가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피 치유 과정에 도움이 된다. Bloomfield 등<ref>Bloomfield SE et al. Treatment of FK w the SCL. ''AJO''. 1973 Dec;76(6):978-80. [https://pubmed.ncbi.nlm.nih.gov/4759857/ 연결]</ref>은 BCL를 사용한 20명의 환자에서 1주일 후 실모양체가 100% 소실되고 재발이 없음을 보고하였다. 인공눈물 점안액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고 산소 투과력이 높은 CL을 선택해야 하며, 장기간 CL 착용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슷한 목적으로 Succinylated collagen bandage lenses (SCBL)<ref>Hadassah J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succinylated collagen bandage lenses for ophthalmic applications. ''Ophthalmic Res''. 2008;40(5):257-66. [https://pubmed.ncbi.nlm.nih.gov/18437036/ 연결]</ref>, 양막 이식편, 형태 유지물 (conformer) 에 부착된 양막 등을 이용한 치료도 시도되고 있다. | BCL은 실모양 각막염 환자에서 증상을 빠르게 해소하는 데 상당히 효과적이다. BCL은 눈꺼풀의 마찰력으로부터 각막을 보호하고 상피 바닥막 결손 부위를 덮어 추가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피 치유 과정에 도움이 된다. Bloomfield 등<ref>Bloomfield SE et al. Treatment of FK w the SCL. ''AJO''. 1973 Dec;76(6):978-80. [https://pubmed.ncbi.nlm.nih.gov/4759857/ 연결]</ref>은 BCL를 사용한 20명의 환자에서 1주일 후 실모양체가 100% 소실되고 재발이 없음을 보고하였다. 인공눈물 점안액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고 산소 투과력이 높은 CL을 선택해야 하며, 장기간 CL 착용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슷한 목적으로 Succinylated collagen bandage lenses (SCBL)<ref>Hadassah J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succinylated collagen bandage lenses for ophthalmic applications. ''Ophthalmic Res''. 2008;40(5):257-66. [https://pubmed.ncbi.nlm.nih.gov/18437036/ 연결]</ref>, 양막 이식편, 형태 유지물 (conformer) 에 부착된 양막 등을 이용한 치료도 시도되고 있다. | ||
=== 공막 렌즈 === | === 공막 렌즈 === | ||
공막 렌즈 역시 FK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증상을 경함하고 각막 표면에 눈물 저장소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술이나 안구 표면 질환으로 인해 불규칙하게 변형된 각막을 가진 환자에서 시력 보정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Bhattacharya 등<ref>Bhattacharya P et al. Case Report : Post-keratoplasty FK Managed w Scleral Lens. ''Optom Vis Sci''. 2018 Aug;95(8):682-686. [https://pubmed.ncbi.nlm.nih.gov/30063659/ 연결]</ref>은 prosthetic replacement of the ocular surface ecosystem (PROSE) 을 착용한 6시간 후에 실모양체가 소실됨을 보고하였다. | |||
=== 기계적 죽은 조직 제거술 === | |||
모양체를 기계적으로 제거하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나 다른 보조 치료를 병행하지 않으면 재발이 많아 궁극적 치료가 되지는 못한다. Jeweler 혹은 tying 겸자로 제거하며 상피 결손이 생길 경우 새로운 실모양체의 수용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피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모양체를 제거한 후에는 예방적 항생제를 점안한다. | |||
== 눈물점 폐쇄 === | |||
심한 건성안이 동반된 경우 아교질 마개, 실리콘 마개, 열 혹은 레이저 소작을 통해 눈물점을 막는 치료가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f>Ervin AM et al. Punctal occlusion for D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 Sep 8;(9):CD006775. [https://pubmed.ncbi.nlm.nih.gov/20824852/ 연결]</ref>. 눈물점 폐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영구적으로 폐쇄하기 전에 녹는 재질을 사용해 임시로 눈물점 폐쇄를 시행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