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모양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3일 (수)
잔글
14번째 줄: 14번째 줄:
다. 점액은 탈락된 각막상피세포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성안은 실모양체 형성의 필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65 눈물의 수성층이 부족해지면 각막 표면 윤활 작용이 줄어들고 점액층의 점도가 바뀌며 결과적으로 잦은 상피세포층의 결손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는 비정상적인 지질층을 형성하며, 눈물막 파괴 시간 단축, 점액층 파괴 및 각막 상피층의 건조를 야기한다. 또한 건성안으로 인한 잦은 눈깜박임은 약한 각막 표면에 더욱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다. 점액은 탈락된 각막상피세포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성안은 실모양체 형성의 필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65 눈물의 수성층이 부족해지면 각막 표면 윤활 작용이 줄어들고 점액층의 점도가 바뀌며 결과적으로 잦은 상피세포층의 결손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는 비정상적인 지질층을 형성하며, 눈물막 파괴 시간 단축, 점액층 파괴 및 각막 상피층의 건조를 야기한다. 또한 건성안으로 인한 잦은 눈깜박임은 약한 각막 표면에 더욱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 눈꺼풀의 기계적 마찰력 ===
=== 눈꺼풀의 기계적 마찰력 ===
각막 표면에 작용하는 기계적 마찰력은 각막 표면에 미세 손상을 일으킴으로써 실모양체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 몇몇 연구들은 눈깜박임이나 눈운동 중에 발생하는 눈꺼풀결막 아래에서 안구의 기계적 움직임이 실모양체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데 관여한다고 보고하였다.59
각막 표면에 작용하는 기계적 마찰력은 각막 표면에 미세 손상을 일으킴으로써 실모양체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 몇몇 연구들은 눈깜박임이나 눈운동 중에 발생하는 눈꺼풀결막 아래에서 안구의 기계적 움직임이 실모양체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데 관여한다고 보고하였다<ref name=r5 />.


== 원인 ==
== 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