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모양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6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7월 3일 (수)
잔글
잔글 (→‎약물)
잔글 (→‎병인)
6번째 줄: 6번째 줄:


== 병인 ==
== 병인 ==
모양체의 발생 기전에 대하여 다양한 가설이 제기됐는데. 최근 문헌들에 따르면 실모양각막염은 다음의 인자들이 복합되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모양체의 발생 기전에 대하여 다양한 가설이 제기됐는데. 최근 문헌들에 따르면 FK는 다음의 인자들이 복합되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 각막 상피세포, 바닥막 혹은 보우만층의 손상 ===
=== 각막 상피세포, 바닥막 혹은 보우만층의 손상 ===
이전 보고는 상피 바닥막과 보우만층이 손상되어 실모양체가 형성된다고 제시하였다.62 Zaidman 등63은 FK가 발생한 사례의 사후 조직 병리검사를 통해 바닥세포 바로 아래에 염증세포와 섬유아세포가 있음을 밝혀냈다. 저자들은 이러한 소견을 바탕으로 바닥 상피세포, 상피 바닥막 혹은 보우만층이 손상되고 눈꺼풀의 마찰력으로 인해 손상된 부위로 상피 바닥막의 국소 박리가 발생하며, 융기된 상피세포는 점액과 불규칙한 각  
이전 보고는 상피 바닥막과 보우만층이 손상되어 실모양체가 형성된다고 제시하였다.62 Zaidman 등63은 FK가 발생한 사례의 사후 조직 병리검사를 통해 바닥세포 바로 아래에 염증세포와 섬유아세포가 있음을 밝혀냈다. 저자들은 이러한 소견을 바탕으로 바닥 상피세포, 상피 바닥막 혹은 보우만층이 손상되고 눈꺼풀의 마찰력으로 인해 손상된 부위로 상피 바닥막의 국소 박리가 발생하며, 융기된 상피세포는 점액과 불규칙한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