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실모양체) |
잔글 (→임상 소견)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가장 흔한 증상은 심한 이물감과 통증이다. 그 외에 눈물 흘림, 눈부심, 눈꺼풀 연축 등을 호소하기도 하며 보통 눈을 깜빡일 때 증상이 악화되고 눈을 감고 있는 동안에는 증상이 경감된다. | 가장 흔한 증상은 심한 이물감과 통증이다. 그 외에 눈물 흘림, 눈부심, 눈꺼풀 연축 등을 호소하기도 하며 보통 눈을 깜빡일 때 증상이 악화되고 눈을 감고 있는 동안에는 증상이 경감된다. | ||
FK는 특징적 소견으로 임상 진단하며 흔히 건성안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사도 시행해야 한다. 세극등 검사에서 실모양체는 상피 세포에 붙어 있는 아교 모양 가닥 혹은 돌출로 보이며, 투명 혹은 과립형으로 보이기도 한다. 크기는 0.5~수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원형부터 길다란 가닥까지 다양한 형태로 관찰될 수 있다. 실모양체는 일반적으로 한쪽 끝이 각막에 붙어 있으나 양쪽 끝 모두 붙어 있을 수도 있다. 바로 밑으로 회색의 작은 상피밑 혼탁을 동반하기도 하나 보통 아래쪽의 각막 기질은 정상이다<ref name= | FK는 특징적 소견으로 임상 진단하며 흔히 건성안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사도 시행해야 한다. 세극등 검사에서 실모양체는 상피 세포에 붙어 있는 아교 모양 가닥 혹은 돌출로 보이며, 투명 혹은 과립형으로 보이기도 한다. 크기는 0.5~수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원형부터 길다란 가닥까지 다양한 형태로 관찰될 수 있다. 실모양체는 일반적으로 한쪽 끝이 각막에 붙어 있으나 양쪽 끝 모두 붙어 있을 수도 있다. 바로 밑으로 회색의 작은 상피밑 혼탁을 동반하기도 하나 보통 아래쪽의 각막 기질은 정상이다<ref name=r13>Hamilton W et al. Filamentary keratitis. ''AJO''. 1982 Apr;93(4):466-9. [https://pubmed.ncbi.nlm.nih.gov/7072810/ 연결]</ref>. 눈깜박임에 의해 실모양체는 표면에서 움직이며 그 길이가 증가하기도 한다. 기계적 죽은 조직 제거술로 실모양체를 제거할 수 있지만 흔히 재발한다<ref>Fraunfelder FT et al. Corneal mucus plaques. ''AJO''. 1977 Feb;83(2):191-7. [https://pubmed.ncbi.nlm.nih.gov/836661/ 연결]</ref>. 실모양체는 로즈 벵갈 (rose Bengal) 에 진하게 염색되나 형광 염색에서는 약간 덜 밝게 염색된다. 기저의 상피 결손은 형광 염색에서 매우 밝게 염색되며 돌출된 실모양체는 어둡게 보이는 음성 형광 염색 양상을 보인다. | ||
각막에서 실모양체가 생기는 위치를 통해 FK의 원인 질환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건성안과 노출 각막병증에서는 주로 눈꺼풀틈새에 발생하며, 상윤부 각결막염, 눈꺼풀 처짐, 그 외 오랫동안 눈꺼풀이 감겨 있는 경우에는 흔히 위쪽 각막에서 실모양체를 발견할 수 있다. [[전층 각막이식]] 후에는 주로 이식편내 봉합사 주위나 공여-수여 각막 경계 부위에 발생한다. | 각막에서 실모양체가 생기는 위치를 통해 FK의 원인 질환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건성안과 노출 각막병증에서는 주로 눈꺼풀틈새에 발생하며, 상윤부 각결막염, 눈꺼풀 처짐, 그 외 오랫동안 눈꺼풀이 감겨 있는 경우에는 흔히 위쪽 각막에서 실모양체를 발견할 수 있다. [[전층 각막이식]] 후에는 주로 이식편내 봉합사 주위나 공여-수여 각막 경계 부위에 발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