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25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5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바이러스 결막염 (viral conjunctivitis)</b> 은 결막염의 흔한 원인으로, 대부분 여포 결막염을 일으킨다. 여포는 표층 결막 기질...)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바이러스 결막염 (viral conjunctivitis)</b> 은 결막염의 흔한 원인으로, 대부분 [[결막 여포|여포]] 결막염을 일으킨다. 여포는 표층 결막 기질 내의 형질 세포와 비만 세포에 둘러싸인 림프구가 응집되고 모여서 나타난다. 여포가 생성되면 이 면역 세포의 응집이 혈관을 주변부로 밀어내어 주변부에 혈관이 보이는 동그란 여포가 생성된다.
'''바이러스 결막염 (viral conjunctivitis)'''{{각막}} 은 결막염의 흔한 원인으로, 대부분 [[결막 여포|여포]] 결막염을 일으킨다. 여포는 표층 결막 기질 내의 형질 세포와 비만 세포에 둘러싸인 림프구가 응집되고 모여서 나타난다. 여포가 생성되면 이 면역 세포의 응집이 혈관을 주변부로 밀어내어 주변부에 혈관이 보이는 동그란 여포가 생성된다.
== 분류 ==
== 분류 ==
DNA 바이러스에 의한 결막염이 더 심한 염증과 합병증을 남긴다<ref>Alvarenga L et al. Viral Conjunctivitis. In: ICrachimer JH, Mannis MJ, Holland EJ. Cornea, 3rd ed. Mosby Elsevier, 2011; v.l. chap. 44.</ref>.
* DNA 바이러스 결막염 :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아데노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단순 포진 바이러스]], [[대상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대상 포진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결막염|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거대 세포 바이러스
* DNA 바이러스 결막염 :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아데노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단순 포진 바이러스]], [[대상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대상 포진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결막염|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거대 세포 바이러스
* [[RNA 바이러스 결막염]]
* [[RNA 바이러스 결막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