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각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40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6일 (토)
잔글
6번째 줄: 6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증상은 [[인두 결막열]] (PCF) 보다 심하다. 눈 외의 다른 증상은 없으며, 주로 양안성인 [[인두 결막열|PCF]]에 비해 단안에만 생길 수도 있다. 결막은 경한 충혈부터 여포, 유두 결막염 (모두 아래 결막 구석에서 심함), [[결막하 출혈]], [[결막 부종]], 거짓막/막 결막염까지 생길 수 있다. [[가성막]]이나 막에 의해 각막이 마찰되어 각막 상피가 벗겨지며, 지도 모양 헤르페스 각막염과 비슷해 보일 수 있다.
증상은 [[인두 결막열]] (PCF) 보다 심하다. 눈 외의 다른 증상은 없으며, 주로 양안성인 [[인두 결막열|PCF]]에 비해 단안에만 생길 수도 있다. 결막은 경한 충혈부터 여포, 유두 결막염 (모두 아래 결막 구석에서 심함), [[결막하 출혈]], [[결막 부종]], 거짓막/막 결막염까지 생길 수 있다<ref>Alvarenga L et al. Viral Conjunctivitis. In: Krachimer JH, Mannis MJ, Holland EJ. Cornea, 3rd ed. Mosby Elsevier, 2011; v.l. chap. 44.</ref>. [[가성막]]이나 막에 의해 각막이 마찰되어 상피가 벗겨지며, 지도 모양 헤르페스 각막염과 비슷해 보일 수 있다.
=== 각막염 ===
=== 각막염 ===
* 0, 1기 (2일 이내): 세극등으로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25~30㎛) 소수포성 상피 융기가 나타나며, 5일째에는 더 뚜렷해진다.
* 0, 1기 (2일 이내): 세극등으로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25~30㎛) 소수포성 상피 융기가 나타나며, 5일째에는 더 뚜렷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