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분류) |
잔글 (→진단)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진단 == | == 진단 == | ||
임상적으로 진단하며,검사실 진단까지 해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확진 면역형광 염색법을 통한 세포 배양 (cell culture with confirmator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CC-IFA) 으로 진단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걸리므로 실제로 시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ref>Elnifro EM et al. Diagnosis of viral and chlamydial keratoconjunctivitis : which laboratory test? ''BJO''. 1999 May;83(5):622-7. [https://pubmed.ncbi.nlm.nih.gov/10216067/ 연결]</ref>. 그 밖에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하는 여러 키트가 상품화되어 있다. 최근에는 PCR 검사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증상이 있어 병원을 방문했을 때 바로 결과를 알기가 어렵고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 임상적으로 진단하며,검사실 진단까지 해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확진 면역형광 염색법을 통한 세포 배양 (cell culture with confirmator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CC-IFA) 으로 진단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걸리므로 실제로 시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ref>Elnifro EM et al. Diagnosis of viral and chlamydial keratoconjunctivitis : which laboratory test? ''BJO''. 1999 May;83(5):622-7. [https://pubmed.ncbi.nlm.nih.gov/10216067/ 연결]</ref>. 그 밖에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하는 여러 키트가 상품화되어 있다. 최근에는 PCR 검사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증상이 있어 병원을 방문했을 때 바로 결과를 알기가 어렵고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 ||
== 전염 방지 == | |||
전염 방지와 증상 완화에 목표를 두고 환자에게도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명한다. 의사는 환자를 독립된 공간에서 따로 진찰하고, 환자를 진찰하기 전후에 손을 깨끗이 씻고 검사장비도 소독한다. 환자는 눈을 만지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하며,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가족 구성원과 수건과 침구 등을 따로 사용하도록 교육한다. 병원 근무자는 14일간 다른 환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다회용 안약을 가족이 함께 쓰면 전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1회용 안약을 사용하도록 한다. | |||
== 치료 == | ==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