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각막 형태 검사 (topography)'''{{각막}} 는 모든 경선에 대한 각막의 형태를 정확하게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 진단, 치료 및 경과 관찰에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콘택트렌즈 처방에 있어서 각막 형태 검사를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각막 형태 검사 (topography)'''{{각막}}{{topo}} 는 모든 경선에 대한 각막의 형태를 정확하게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 진단, 치료 및 경과 관찰에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콘택트렌즈 처방에 있어서 각막 형태 검사를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
== 종류 == | == 종류 == | ||
* 축 곡률 지도 (axial curvature map) : 초기부터 사용된 지도로, 축 곡률은 각막 곡률계와 비슷한 방식으로 곡률을 표현한다. 이는 각막이 구형이라는 가정 하에 각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가늠자의 크기를 분석한다. 축 곡률은 각막의 모양으로부터 굴절력을 표현하므로 중심이 가파르고 주변부가 편평한 각막의 prolate 모양을 잘 나타내주기 때문에, 각막의 진단 혹은 선별 목적으로 기본이 되는 지도로 여겨지고 있다. | * 축 곡률 지도 (axial curvature map) : 초기부터 사용된 지도로, 축 곡률은 각막 곡률계와 비슷한 방식으로 곡률을 표현한다. 이는 각막이 구형이라는 가정 하에 각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가늠자의 크기를 분석한다. 축 곡률은 각막의 모양으로부터 굴절력을 표현하므로 중심이 가파르고 주변부가 편평한 각막의 prolate 모양을 잘 나타내주기 때문에, 각막의 진단 혹은 선별 목적으로 기본이 되는 지도로 여겨지고 있다.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KPI (Klyce / Maeda keratoconus index) : KPI와 논리에 기반한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막 형태가 원추 각막일 가능성을 제시하며, 원추 각막 의증을 진단하지는 않는다. | * KPI (Klyce / Maeda keratoconus index) : KPI와 논리에 기반한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막 형태가 원추 각막일 가능성을 제시하며, 원추 각막 의증을 진단하지는 않는다. | ||
* 표면 규칙 지수 (surface regularity index; SRI) : 중심 4.5mm 의 가상의 동공위 각막 표면의 국소적인 규칙성을 계산한다. | * 표면 규칙 지수 (surface regularity index; SRI) : 중심 4.5mm 의 가상의 동공위 각막 표면의 국소적인 규칙성을 계산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