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탐부톨 유발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5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10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용량)
3번째 줄: 3번째 줄:
투여 후 2~7개월에 발생한다.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결핵 등 신장 기능이 나쁘거나 당뇨병, 고령, 고혈압, 간손상, 영양 결핍, 흡연과 알코올 섭취가 심한 경우에 잘 생긴다.
투여 후 2~7개월에 발생한다. 신장을 통해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 결핵 등 신장 기능이 나쁘거나 당뇨병, 고령, 고혈압, 간손상, 영양 결핍, 흡연과 알코올 섭취가 심한 경우에 잘 생긴다.
== 용량 ==
== 용량 ==
독성 시신경병증의 발생은 투여량과 관계가 있어 대개 25mg/kg/d 이상 투여한 환자에서 생기며, 치료 용량인 15~25mg/kg/d 을 투여한 환자의 1%에서 시력 손상이 보고되었다.4, 5,14 따라서 [[에탐부톨]]을 15mg/kg/  
독성 시신경병증의 발생은 투여량과 관계가 있어 대개 25mg/kg/d 이상 투여한 환자에서 생기며, 치료 용량인 15~25mg/kg/d 을 투여한 환자의 1%에서 시력 손상이 보고되었다<ref>Altiparmak UE. Toxic optic neuropathies. ''Curr Opin Ophthalmol''. 2013 Nov;24(6):534-9. [https://pubmed.ncbi.nlm.nih.gov/24100370/ 연결]</ref><ref>Grzybowski A et al. Toxic optic neuropathies : an updated review. ''Acta Ophthalmol''. 2015 Aug;93(5):402-410. [https://pubmed.ncbi.nlm.nih.gov/25159832/ 연결]</ref><ref>Lessell S. Nutritional amblyopia. ''J Neuroophthalmol''. 1998 Jun;18(2):106-11. [https://pubmed.ncbi.nlm.nih.gov/9621265/ 연결]</ref>. 따라서 [[에탐부톨]]을 15mg/kg/d 투여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더 낮은 용량에서도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ref>이정현 등, 에탐부톨 복용 환자에서 정기적인 안과 검사 결과, ''한안지'' 2016;57(12):1939-194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281 연결]</ref>.
투여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더 낮은 용량에서도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ref>이정현 등, 에탐부톨 복용 환자에서 정기적인 안과 검사 결과, ''한안지'' 2016;57(12):1939-194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281 연결]</ref>.


== 병인 ==
== 병인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