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시작 시기) |
잔글 (→단점)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피부의 상처나 알레르기와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유치원이나 학동기 환아에서는 미용적으로 문제가 되어 치료를 거부하기도 한다<ref>Oliver M et al. Compliance and results of treatment for amblyopia in children more than 8 yo. ''AJO''. 1986 Sep 15;102(3):340-5. [https://pubmed.ncbi.nlm.nih.gov/3752199/ 연결]</ref><ref>Searle A et al. Psychosocial and clinical determinants of compliance w occlusion therapy for amblyopic children. ''Eye (Lond)''. 2002 Mar;16(2):150-5. [https://pubmed.ncbi.nlm.nih.gov/11988815/ 연결]</ref>. | 피부의 상처나 알레르기와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유치원이나 학동기 환아에서는 미용적으로 문제가 되어 치료를 거부하기도 한다<ref>Oliver M et al. Compliance and results of treatment for amblyopia in children more than 8 yo. ''AJO''. 1986 Sep 15;102(3):340-5. [https://pubmed.ncbi.nlm.nih.gov/3752199/ 연결]</ref><ref>Searle A et al. Psychosocial and clinical determinants of compliance w occlusion therapy for amblyopic children. ''Eye (Lond)''. 2002 Mar;16(2):150-5. [https://pubmed.ncbi.nlm.nih.gov/11988815/ 연결]</ref>. | ||
* 가림 약시 : 가장 심한 부작용으로 [[시각 차단 약시]]의 한 종류이며, 빈도는 4~25%로 저자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회복이 가능하나 발견이 늦으면 회복이 안 될 수도 있어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 * 가림 약시 : 가장 심한 부작용으로 [[시각 차단 약시]]의 한 종류이며, 빈도는 4~25%로 저자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회복이 가능하나 발견이 늦으면 회복이 안 될 수도 있어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 ||
== 약시와 [[잠복 눈떨림]] == | |||
잠복눈떨림에서 우세안을 가리는 가림치료는 눈떨림을 유발하므로 약시안 기능이 오히려 악화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잠복 눈떨림 약시 환자도 우세안 종일가림으로 시력이 호전된다. Simonsz57는 [[잠복 눈떨림]] 환자에서 종일 가림을 하루 이상 지속하 | |||
면 진동시 (oscillopsia) 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 이런 이유로 부분 가림보다는 종일 가림을 택하기도 한다. | |||
== 중심외 주시 == | |||
비쥬스코우프(visuscope)가 개발되면서 약시에 | |||
서 중심외주시가 흔히 나타나는 것이 알려졌으며, | |||
이 경우 2세 이상에서 반대눈을 가리면 약시안의 | |||
비정상주시로 인해 중심외주시가 더 악화될 수 있 | |||
으므로 비정상주시를 없애기 위해 약시안을 먼저 | |||
가려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반대가림,inverse | |||
occlusion).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중심외주시가 | |||
있는 약시의 경우에도 기존의 우세안 가림이 가장 | |||
효과적인 방법(특히 나이가 어린 경우)이며,반대 | |||
가림으로 비정상주시를 정상화시킬 수 없고 약시 | |||
를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42’61 | |||
von Noorden(n은 중심외주시가 있을 때 5세 이상 | |||
에서만 우세안 가림치료를 하기 전에 며칠 동안 반 | |||
대가림을 하며 4세 이상에서 중심외주시가 있을 | |||
때는 약시 치료 예후가 불량하다고 하였다. | |||
약시발생의 민감기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진 이 | |||
후 과거보다 어린 나이에 약시를 진단하고 치료하 | |||
게 되면서 중심외주시가 있는 약시는 줄어든 것으 | |||
로 보인다.64 나이가 어린 환자에서 중심주시와 중 | |||
심외주시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 | |||
아서 약시가 진단되면 우세안가림으로 치료를 시 | |||
작한다.64 | |||
{{참고}} | {{참고}} |